민주노총 금속노조 대대적 조직화 나서
이주노동자를 노조에 직접 가입시키려는 산별노조의 노력이 본격화하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최대 산별노조인 금속노조는 18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산하 조직에 이주노동자들을 직접 가입시키는 ‘이주노동자 조직화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금속노조는 먼저 전면적인 이주노동자 실태조사를 벌이고, 조사에 필요한 별도 예산과 전담 인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 실태조사는 이주노동자 인원수·근로조건·임금 등을 확인하고, 노조 가입에 걸림돌이 되는 각종 현안을 파악하는 데 초점이 맞추고 있다. 필요한 예산 등은 다음달 대의원대회에서 승인받기로 했다.
앞서 금속노조는 지난달 비정규 실태조사 때 현대미포조선 500명, 현대중공업 222명, 삼호중공업 176명, 지엠대우자동차 70명 등 금속노조 산하 대규모 사업장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 1946명을 1차로 파악했는데, 영세 사업장을 중심으로 파악되지 않은 이주노동자가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사업을 두고 정갑득 금속노조 위원장은 “비정규직, 이주노동자 등 미조직 노동자 가입을 확대해 진정한 산별로 거듭나기 위한 사업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금속노조는 이주노동자를 직접 조직화할 제도적 토대를 착실히 마련해 왔다. 2005년 조직 대상을 이주노동자까지 포함하는 내용으로 지회·지부 규칙을 개정했고, 지난해 7월 산별 노사교섭에선 최저임금을 이주노동자에게도 확대해 적용하는 방안도 합의를 이뤄냈다. 또 같은해 12월 대의원대회에서는 노조 사상 최초로 이주노동자의 대거 가입에 대비해 조합 대의원·임원 등을 이주노동자에게 할당하는 규정도 만들었다.
전국건설산업 노동조합도 이주노동자의 단위 노조 가입사업을 전국으로 확대·시행할 것을 준비하고 있다. 건설노조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부 다섯곳에서는 지난 6월부터 ‘이주노동자 노조 가입 유도’를 위해 단위 노조를 상대로 선전·교육사업을 벌였다.
건설노조는 “수도권 지부의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말 이주노동자 조직화 방침을 더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설현장의 이주노동자는 8만명 가량으로 추산되며, 이주노동자 100여명은 이미 각 지부 노조에 가입한 상태다.
국내 이주노동자 48만여명 대부분이 제조·건설업종에 종사하는 현실에서 두 산별 노조의 이런 움직임은 이주노동자의 근로조건 개선은 물론, 노조 조직력 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석권호 비정규국장은 “산별노조들에 이어, 단위 노조에서도 ‘이주노동자가 국내 노동자 일자리를 뺏는다’고 생각하는 노동자들의 오해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주노동자 운동을 이끌어온 서울경기인천 이주노동자 노동조합 까지만 가풍 위원장은 “산별노조의 이주노동자 조직화 사업이 이주노조 운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환영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민주노총 석권호 비정규국장은 “산별노조들에 이어, 단위 노조에서도 ‘이주노동자가 국내 노동자 일자리를 뺏는다’고 생각하는 노동자들의 오해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주노동자 운동을 이끌어온 서울경기인천 이주노동자 노동조합 까지만 가풍 위원장은 “산별노조의 이주노동자 조직화 사업이 이주노조 운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환영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