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쪽 “정리해고 안된 직원 16일 공장 진입시도”
공장안 휘발성 물질 많아 대형사고 이어질수도
공장안 휘발성 물질 많아 대형사고 이어질수도
20일 넘게 노동조합원들의 점거 파업이 이어지고 있는 쌍용자동차 평택공장에 정리해고 대상이 아닌 수천명의 노동자들이 16일 출근해 공장 진입을 시도할 계획이어서, 노-노 간의 물리적 충돌까지 우려되는 등 쌍용차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쌍용차는 14일 “파업이 더 지속되면 재기 불능 상황으로 빠져드는 만큼 정리해고에서 제외된 4500여명 전 직원이 16일 출근해 평택공장 진입을 시도할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사쪽은 지난 10일 평택 공설운동장에서 연 ‘파업 중단 촉구 결의대회’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 사쪽은 당시 “사태의 심각성을 알고도 합법적 조처를 하지 않은 정부에 모든 책임이 있다”고 말하는 등 경찰력 투입을 하지 않는 정부를 압박하기도 했다. 사쪽 관계자는 “오랜 공장 점거로 남은 직원은 물론 20만 협력사 직원과 가족의 생계가 파탄 지경”이라며 “(출근은 직원들의) 자율적 결정으로 중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이날 “사쪽이 직원들을 강제 동원해 노-노 충돌을 유발하려 하고 있다”고 비난한 뒤 “파업을 절대 풀 수 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15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뜻을 분명히 밝히기로 했다. 이창근 쌍용차 노조 기획부장은 “최근 노동자 2명이 뇌출혈과 심근경색 등으로 숨진 것은 사쪽의 회유와 협박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이라며 “기자회견에서 평택공장 공동관리인들을 고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1100명의 노동자가 점거하고 있는 쌍용차 평택공장에는 5600ℓ가 넘는 시너 등 휘발성 물질에 폭발 위험이 큰 도장 공장 등이 있다. 이런 상황에 노사는 물론 노-노 간의 충돌까지 우려되자 경찰의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경찰은 16일 평택공장 주변에 경찰력을 증강 배치해 만일의 충돌 사태에 대비하기로 했다.
한편, 쌍용차 노조는 지난 10일 노사정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비공개 당정회의에서 ‘조건 없는 노-정 교섭’을 거듭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의에서 노조는 “회사는 정리해고를 철회하고 노조는 파업을 철회하는 것이 맞는 것 아니냐”며 사쪽에 ‘먼저 정리해고 철회’를 요구했고, 사쪽은 “파업을 풀면 정리해고를 미루겠다”고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평택/김기성 홍용덕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