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8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국어대학교를 방문해 코로나19 대응 상황 점검을 위해 학교 관계자들과 함께 학생 기숙사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대학 안에서 코로나19와 관련한 ‘중국인 유학생’, ‘격리’ 등의 말을 차별과 배제가 없는 말로 고쳐쓰는 등 국적 구분 없는 소통과 협력의 노력이 나오고 있다.
김나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장은 18일 <한겨레>에 “총학생회가 ‘중국인 유학생’, ‘격리’ 등 자칫 일부 학생들에게 차별적이거나 배제적으로 여겨질 수 있는 말들을 ‘중국 입국 학생’, ‘생활공간 분리’ 등으로 고쳐쓰자고 학교에 제안해 받아들여졌다”고 말했다. 또 “혹시 모를 갈등을 막기 위해 한국 학생, 유학생 구분 없이 최대한 소통과 교류를 확대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날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찾아 교직원들과 학생, 유학생들과 간담회를 했다. 코로나19 관련 대책에 대한 의견을 듣고, 혹시 모를 대학 내 갈등을 막자는 취지에서다.
중국인 유학생들은 간담회에서 ‘중국 입국 학생 2주 등교중지’ 등 교육당국의 조처를 대체로 잘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인 유학생 최강씨는 “사태의 심각성을 잘 알기 때문에 중국 입국 학생들은 개강 전 2주 동안 최대한 외부접촉을 피하는 등 자발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기숙사가 아닌 자기 숙소에 머무르는 유학생들에 대해선 “좀 더 소통을 강화해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 학생들은 전문인력에 의한 방역, 충분한 정보 제공, 마스크·손소독제 비치 등 지원을 늘려 학생들의 심리적 불안을 해소해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언어통번역학부 김온유씨는 “충분한 정보 제공, 지원 확대 등으로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근거 없는 혐오감을 없애는 게 방법”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정부의 방역 노력과 함께 “학생들이 불편해도 서로 배려하고 양보하는 등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방자치단체 연수원 등을 유학생 거주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예비비를 써서 대학가의 방역 지원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