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가 여당지? FTA·파병·스크린쿼터 등 날선 비판 안보이나…
독재정권 옹호하던 펜으로
‘논조 다른 신문’ 헐뜯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사설과 기사로 신문발전위원회의 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비난하면서, <한겨레>를 ‘여당지’ 또는 ‘정권의 신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 신문은 어떤 근거와 논리로 이런 주장을 하는 것일까? 조선일보는 6일치 사설에서 “지원 대상인 한겨레신문은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 후 처음 찾아간 신문사이다. 정권의 신문에 신문 지원자금이 맨 먼저 돌아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노 대통령이 처음 방문한 곳=정권의 신문’. 논리 비약이 너무 심하다. 조선·중앙·동아일보는 한겨레를 깎아내리려다 보니 특정 사례를 놓고 마치 모든 게 다 그런 것처럼 주장하는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참여정부의 주요 정책들을 놓고 한겨레와 이들 세 신문의 논조를 조목조목 비교해 보면, 이런 논리의 모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참여정부 적대감 사로잡혀 스스로 ‘비판자’ 포장 국가보안법과 관련해, 한겨레는 인권 보호와 남북 화해를 위해 폐지할 것을 주장해 왔다. 반면 조선·중앙·동아일보는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폐지를 반대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해 한겨레는 투기 억제를 통한 집값 안정을 위해 세금 강화 정책을 지지하고 있지만, 이들 신문은 이를 ‘세금 폭탄’이라고 비판한다. 그렇다면 한겨레는 여당지이고, 조선·중앙·동아일보는 비판지인가?
참여정부의 다른 주요 정책들을 기준으로 삼으면, 상황은 180도 달라진다. 이라크 파병에 대해 한겨레는 명분없는 전쟁이라는 이유로 반대했다. 반면, 조선·중앙·동아일보는 한-미 혈맹을 유지하려면 파병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과 관련해서도 한겨레는 부작용을 우려해 우리 정부의 협상전략을 비판하고 있는 반면, 이들 신문은 협상을 신속히 마무리하려는 정부의 태도를 두둔하고 있다. 스크린쿼터 문제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한겨레는 비판지이고, 조선·중앙·동아일보는 여당지인가? 민주화시대 이분법 넘을 때 임영호 부산대 교수(신문방송학)는 “독일 월드컵 4강에 오른 나라가 모두 유럽 국가라는 결과만 놓고 월드컵이 지역적으로 편향돼 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처럼, 심사 기준이나 과정은 따져보지 않은 채 신문발전기금 선정 결과만 놓고 정치적으로 편향됐다고 보도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조선·중앙·동아일보는 그동안 지면에서 참여정부에 대한 적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고, 이를 ‘비판지’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왔다. 하지만 과거 독재정권 시절과 달리 민주화된 사회에서 여당지니 비판지니 하는 이분법적 구분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정통성이 없는 독재정권은 개별 정책의 옳고 그름을 떠나 정권 자체가 극복돼야 할 대상이기 때문에 야당지가 존재할 수 있는 정치·사회적 기반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문들은 유신정권과 5공화국 시절 가시밭길의 야당지 대신 정권의 홍보지 노릇을 했다. 조선·중앙·동아일보는 민주화를 열망하는 광주 시민들을 학살하고 정권을 잡은 전두환씨를 앞다퉈 미화하면서 그의 권력 기반을 다져주었다. ‘인간 전두환, 육사의 혼이 키워낸 신념과 의지의 행동’(조선) ‘새 시대의 기수 전두환 대통령, 우국충정 30년 군 생활’(동아) ‘사천에서 청와대까지, 전두환 대통령-어제와 오늘’(중앙) 등등 …. 신문철을 찾아보면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이들은 ‘독재정권의 신문’이 되기를 선택했고 오랜 세월 독재자가 베푸는 특혜를 누렸다. 이재경 이화여대 교수(신문방송학)는 “조선·중앙·동아와 한겨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 등 개별 이슈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보여준다”며 “하지만 이 때문에 서로를 여당지·야당지로 비판하는 것은 소모적인 논란”이라고 말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논조 다른 신문’ 헐뜯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사설과 기사로 신문발전위원회의 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비난하면서, <한겨레>를 ‘여당지’ 또는 ‘정권의 신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 신문은 어떤 근거와 논리로 이런 주장을 하는 것일까? 조선일보는 6일치 사설에서 “지원 대상인 한겨레신문은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 후 처음 찾아간 신문사이다. 정권의 신문에 신문 지원자금이 맨 먼저 돌아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노 대통령이 처음 방문한 곳=정권의 신문’. 논리 비약이 너무 심하다. 조선·중앙·동아일보는 한겨레를 깎아내리려다 보니 특정 사례를 놓고 마치 모든 게 다 그런 것처럼 주장하는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참여정부의 주요 정책들을 놓고 한겨레와 이들 세 신문의 논조를 조목조목 비교해 보면, 이런 논리의 모순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참여정부 적대감 사로잡혀 스스로 ‘비판자’ 포장 국가보안법과 관련해, 한겨레는 인권 보호와 남북 화해를 위해 폐지할 것을 주장해 왔다. 반면 조선·중앙·동아일보는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폐지를 반대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해 한겨레는 투기 억제를 통한 집값 안정을 위해 세금 강화 정책을 지지하고 있지만, 이들 신문은 이를 ‘세금 폭탄’이라고 비판한다. 그렇다면 한겨레는 여당지이고, 조선·중앙·동아일보는 비판지인가?
참여정부의 다른 주요 정책들을 기준으로 삼으면, 상황은 180도 달라진다. 이라크 파병에 대해 한겨레는 명분없는 전쟁이라는 이유로 반대했다. 반면, 조선·중앙·동아일보는 한-미 혈맹을 유지하려면 파병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과 관련해서도 한겨레는 부작용을 우려해 우리 정부의 협상전략을 비판하고 있는 반면, 이들 신문은 협상을 신속히 마무리하려는 정부의 태도를 두둔하고 있다. 스크린쿼터 문제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한겨레는 비판지이고, 조선·중앙·동아일보는 여당지인가? 민주화시대 이분법 넘을 때 임영호 부산대 교수(신문방송학)는 “독일 월드컵 4강에 오른 나라가 모두 유럽 국가라는 결과만 놓고 월드컵이 지역적으로 편향돼 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처럼, 심사 기준이나 과정은 따져보지 않은 채 신문발전기금 선정 결과만 놓고 정치적으로 편향됐다고 보도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조선·중앙·동아일보는 그동안 지면에서 참여정부에 대한 적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고, 이를 ‘비판지’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왔다. 하지만 과거 독재정권 시절과 달리 민주화된 사회에서 여당지니 비판지니 하는 이분법적 구분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정통성이 없는 독재정권은 개별 정책의 옳고 그름을 떠나 정권 자체가 극복돼야 할 대상이기 때문에 야당지가 존재할 수 있는 정치·사회적 기반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문들은 유신정권과 5공화국 시절 가시밭길의 야당지 대신 정권의 홍보지 노릇을 했다. 조선·중앙·동아일보는 민주화를 열망하는 광주 시민들을 학살하고 정권을 잡은 전두환씨를 앞다퉈 미화하면서 그의 권력 기반을 다져주었다. ‘인간 전두환, 육사의 혼이 키워낸 신념과 의지의 행동’(조선) ‘새 시대의 기수 전두환 대통령, 우국충정 30년 군 생활’(동아) ‘사천에서 청와대까지, 전두환 대통령-어제와 오늘’(중앙) 등등 …. 신문철을 찾아보면 이루 헤아릴 수 없다. 이들은 ‘독재정권의 신문’이 되기를 선택했고 오랜 세월 독재자가 베푸는 특혜를 누렸다. 이재경 이화여대 교수(신문방송학)는 “조선·중앙·동아와 한겨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 등 개별 이슈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보여준다”며 “하지만 이 때문에 서로를 여당지·야당지로 비판하는 것은 소모적인 논란”이라고 말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