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한우협회 소속 한 농민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공사 본관 앞에서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발언에 부화뇌동 하지 말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1인시위를 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사퇴 0순위” “정 사장탓 대통령 지지율 하락” 압박
최시중 방통위원장 직접 나서 ‘조기퇴진’ 방안 모색
민변 “공영방송 ‘정권 들러리’ 만들려는 발상” 비판
최시중 방통위원장 직접 나서 ‘조기퇴진’ 방안 모색
민변 “공영방송 ‘정권 들러리’ 만들려는 발상” 비판
감사원이 보수단체 청구를 받아들여 한국방송에 대한 감사를 시행하기로 한 결정은 이명박 정부의 ‘정연주 사장 몰아내기 공세’의 중대한 분수령이라고 할 만하다.
‘정연주 사장 몰아내기’는 지난 3월 참여정부 당시 임명된 정부 산하 기관장의 거취가 쟁점으로 떠올랐을 때부터 가시화됐다. 당시 심재철 한나라당 의원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정연주 한국방송 사장이 방송을 좌파 선전도구로 이용하고 있다”며 “정 사장이 기관장 사퇴 0순위”라고 주장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 등 여권 인사들도 지난 3월 정부 산하 기관장 퇴진이 이슈가 됐을 때 한국방송의 ‘좌파 이념’ 운운하며 최우선 교체 대상으로 정 사장을 꼽았다.
최근에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정 사장 퇴진운동에 ‘총대’를 메는 모습을 보였다. 최 위원장은 지난 3월과 지난 12일 두 차례나 김금수 한국방송 이사장을 만나, 정 사장 조기 퇴진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그는 지난 12일 만남에서 퇴진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자문을 구한 것으로 전해져, 정 사장 퇴진 운동의 중심에 서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샀다. 최 위원장은 지난 3월 개인사정으로 사퇴한 조상기 한국방송 이사 후임에 한나라당 성향의 방석호 홍익대 교수를 추천했다. 또 21일 사의를 표명한 김금수 이사장의 후임자 추천권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정 사장의 조기 퇴진에 반대하는 이사들이 많았던 이사진 구도가 뒤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게다가 정 사장 퇴진 불가 뜻을 보인 신태섭 이사(동의대 교수)는 소속 대학으로부터 한국방송 이사직 사퇴를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방송 이사회가 정 사장을 물러나게 할 법적 권한은 없다. 최근 친한나라당 성향 이사들이 정 사장의 용퇴를 촉구하는 ‘사퇴권고 결의안’을 채택하려다 ‘월권’이라는 비난에 직면한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새로 임명될 이사장을 중심으로, 이사회가 ‘반 정연주 전선’에 서서 정 사장의 경영행위에 사사건건 반기를 들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 사장 퇴진운동에는 보수언론과 보수단체도 적극 나서고 있다. <동아일보>는 정권이 교체되기도 전(대통령선거는 12월19일)인 12월18일치에서 “박권상 전 케이비에스(KBS) 사장이 현 정부의 출범 이후 임기 만료 70여 일을 앞두고 사퇴한 사례로 볼 때 상황에 따라 정 사장이 새 정부에서 임기를 다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정 사장 퇴진론에 불을 붙였다. 그러면서 정 사장 임기(2009년 11월)가 2년 가까이 남았는데도 차기 사장후보까지 거론했다. 뉴라이트 전국연합 등 보수단체들도 20일 임시이사회가 열린 한국방송 본관 앞에서 정 사장 퇴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등 최근 들어 더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상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와 보수언론, 보수단체가 줄기차게 저열한 방법으로 정 사장 퇴진에 몰두하고 있다”며 “5공으로 회귀하는 듯한 방식으로는 더 큰 국민적 저항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이날 성명을 내어 “(정 사장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것은 공영방송을 정권의 들러리로 만들겠다는 비민주적이고 권위적인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정부와 여권 인사들의 한국방송 관련 발언
정 사장 퇴진운동에는 보수언론과 보수단체도 적극 나서고 있다. <동아일보>는 정권이 교체되기도 전(대통령선거는 12월19일)인 12월18일치에서 “박권상 전 케이비에스(KBS) 사장이 현 정부의 출범 이후 임기 만료 70여 일을 앞두고 사퇴한 사례로 볼 때 상황에 따라 정 사장이 새 정부에서 임기를 다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정 사장 퇴진론에 불을 붙였다. 그러면서 정 사장 임기(2009년 11월)가 2년 가까이 남았는데도 차기 사장후보까지 거론했다. 뉴라이트 전국연합 등 보수단체들도 20일 임시이사회가 열린 한국방송 본관 앞에서 정 사장 퇴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등 최근 들어 더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상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와 보수언론, 보수단체가 줄기차게 저열한 방법으로 정 사장 퇴진에 몰두하고 있다”며 “5공으로 회귀하는 듯한 방식으로는 더 큰 국민적 저항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이날 성명을 내어 “(정 사장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것은 공영방송을 정권의 들러리로 만들겠다는 비민주적이고 권위적인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