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가는 민주주의 인물로 본 2015년
방송사 수장 우편향 인물
여대야소 방심위 비판 재갈
방송사 직원들은 지레 겁먹고
제 목소리 내면 징계·재징계
방송사 수장 우편향 인물
여대야소 방심위 비판 재갈
방송사 직원들은 지레 겁먹고
제 목소리 내면 징계·재징계
박근혜 대통령은 2012년 대선에서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개선하겠다”며 ‘언론 정상화’를 공약했다. 이명박 정부의 ‘방송 장악’ 시도가 2012년 ‘방송 파업’으로 이어졌던 전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권 뒤, 이명박 정부보다 한술 더 떠 전방위적인 ‘방송 장악’에 나섰고, 그 때문에 공영방송에서 권력에 비판적인 보도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길환영 한국방송 사장이 ‘청와대가 수시로 방송 내용에 개입했다’는 당시 보도국장의 폭로로 해임됐던 일은 ‘방송 장악’의 현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최근에는 이인호 한국방송 이사장, 고영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 등 ‘뉴라이트’ 역사관, ‘극우’ 성향의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인사들마저 공영방송 관리·감독 기구의 수장을 맡아 논란이 일었다. 한국방송의 한 기자는 “이명박 정부 때에는 그나마 조심스러워하는 부분이 있었다면, 지금은 한쪽 방향을 노골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말했다.
방송사 외부에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방송 장악’을 거들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방심위는 ‘여대야소’ 구성으로 이뤄져, 정치권력에 비판적이거나 불리한 보도가 나오면 유독 ‘강한 제재’로 다스리고 있다는 것이다. 방심위 위원장은 대표적인 ‘뉴라이트’ 인사로 꼽히는 박효종 전 서울대 윤리교육과 교수다. 한국방송의 경우, 지난해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친일 발언’ 보도가 방심위에서 ‘권고’ 제재를, 올해 광복 70년 기념 다큐멘터리<뿌리 깊은 미래>와 ‘이승만 정부 일본 망명 타진’ 보도가 각각 ‘경고’와 ‘주의’ 제재를 받았다. 이에 대해 방송 현업단체들로부터 “지나친 징계” “정치 심의”라는 반발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고대영 한국방송 사장은 인사청문회 때 이 프로그램들을 “문제있는 프로그램”이라고 규정짓기도 했다.
이제 공영방송 안에서는 ‘내부 검열’마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정권에 비판적이거나 불리한 보도나 프로그램에 대해, 외부의 압력이 있기 이전에 내부에서 ‘알아서’ 억누르는 분위기가 강하다는 것이다. 이번 <훈장>‘불방’ 논란이 대표적이다. 방송사 내부에서 비판적 목소리를 내는 구성원들에 대한 징계, 재징계도 끊이지 않고 나타나고 있다. 최원형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