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쪽방촌에서 쪽방 이웃들이 무연고 사망한 쪽방 주민의 방을 정리하고 있다.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지난해 발생한 사망자 100명 가운데 1명은 혼자 살다 세상을 떠난 다음 뒤늦게 발견됐다. 이러한 고독사 사망자 절반 이상은 50~60대 남성이었다.
14일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4월 시행된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고독사예방법)에 따른 것으로, 정부가 고독사 실태를 조사해 공식 통계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독사예방법은 ‘가족·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주검이 발견될 경우’를 고독사로 정의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경찰청으로부터 최근 5년(2017~2021년) 정보를 넘겨받아 고독사 발생 현황과 특징을 분석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에서 고독사한 사람은 모두 1만5066명이었다. 2017년 2412명→2018년 3048명→2019년 2949명→2020년 3279명→2021년 3378명으로 5년 동안 40%가 늘었다. 지난해 국내 전체 사망자는 31만7680명이므로, 100명 가운데 1명이 고독사로 숨진 셈이다. 남성 고독사 사망자는 여성의 4배 이상이었다. 50·60대 중장년층이 고독사의 50~60%를 차지했는데, 상당수가 남성이었다. 2020년과 지난해엔 50·60대 남성 사망자만 전체 사망자의 약 52%였다. 지난해 인천(1.5%), 부산(1.4%), 광주(1.4%), 서울(1.3%) 4개 지역은 전체 사망자 중 고독사 비중이 전국 평균(1.1%)에 견줘 높았다. 복지부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사회관계망이 헐거워지면서 고독사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21년 전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 비중은 33.4%이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