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6일 초등돌봄 운영 현장 점검차 서울시 동대문구 서울이문초등학교를 방문,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4차 유행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가운데,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학기 전면등교’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유 부총리는 2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교육회복 종합방안’ 브리핑에서 “등교 확대는 교육회복을 위한 핵심인 만큼 2학기 전면등교 정책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등교일수가 부족했던 지난 1년 반 동안 아이들에게 장기 누적되고 있는 학습·정서 등 교육결손 우려가 큰 데다 새달 안에 교직원 백신 우선 접종이 마무리된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2학기 전면등교’는 쉽사리 포기하기 어려운 측면이 크다는 것이다.
학생들의 등교일수는 코로나19 1년차였던 지난해 평년(190일)의 50% 안팎에 그쳤다. 초등학교의 경우 92일(49%), 고등학교는 104일(55%)을 등교했고 특히 중학교는 가장 적은 88일(46%)에 그쳤다. 중학교의 등교 부족 현상은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올해까지 이어졌는데, 교육부가 수도권 중학교 등교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학교 밀집도 기준을 완화하기 전인 5월26일 기준 수도권 중학교의 등교율은 48.3%에 그쳤다.
문제는 1일부터 적용하고 있는 새 사회적 거리두기와 연계한 새 학교 밀집도 기준을 보면, 4단계에서는 대면수업을 할 수 없고 원격수업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수도권은 12일부터 새달 8일까지를 기한으로 4단계를 적용받고 있다. 비수도권의 거리두기도 27일부터 3단계로 일괄 상향됐는데 새 학교 밀집도 기준은 2단계까지만 전면등교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유 부총리는 “2학기 전면등교 정책 기조에는 변화가 없지만 현재 (수도권) 거리두기가 4단계이고 학사일정과 운영방식이 이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전국적인 거리두기 단계 조정을 파악해 반영해야 한다”며 여지를 남겼다. 학교 밀집도 기준을 고쳐 3단계까지는 전면등교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있는데 이는 방역당국과 사전 협의가 필수적이다. 교육부는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새달 둘째주까지는 2학기 개학과 관련한 학사일정을 안내할 예정이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