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8일 서울 종로구 공공그라운드 001 스테이지에서 열린 2021 코로나 대학생 피해사례 증언대회에서 대학생들이 등록금과 월세, 학자금 대출 등 코로나19 상황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행위극을 진행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7월초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 확산세가 쉽게 꺾이지 않으면서, 2학기부터 대면 강의를 확대하기로 했던 수도권 대학들이 하나둘 비대면 수업으로 선회하고 있다. 2년 가까이 비대면으로만 대학 생활을 하게 되는 대학생들의 등록금 반환 요구도 또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2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애초 2학기에는 대면 수업을 하겠다고 했던 서울대는 지난달 28일 코로나19 관리위원회를 열어 개강 첫날인 9월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쪽으로 운영 방침을 바꿨다. 연세대와 고려대, 한양대 등도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유지되는 한 전면 비대면 수업을 원칙으로 하되, 3단계에서는 일부 필요한 수업을 대면으로 전환하는 등 유동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중앙대는 10월26일까지 2학기 전반부 8주 동안 학부 이론 수업을 원격으로 진행하기로 하고, 실습 과목에 한해서만 대학장 승인에 따라 예외를 허용하도록 했다.
앞서 교육부는 대학들과 협의해 지난 6월24일 ‘2021학년도 2학기 대학의 대면 활동 단계적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실험·실습·실기 수업이나 소규모 수업부터 우선 대면수업을 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 국민의 70%에 대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이 완료되는 9월 말 이후부터는 이론 수업과 대규모 강의까지 대면수업을 확대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7월 이후 코로나19 4차 유행이 길어지자, 당장 다음달 개강을 앞둔 대학들이 이런 방안 이행을 좀 더 미루는 흐름을 보이는 셈이다.
다만 교육부가 애초 대면수업의 전반적 확대 시기를 9월 말로 잡았던 만큼, 대학들이 10월부터 대면 수업 확대에 나설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황홍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대학들이 3학기째 비슷한 상황을 겪어서 온·오프라인 수업 계획을 모두 세워두고 있으니, 9월 이후 상황이 좋아져 대면수업을 하는 것은 자율적,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대면수업을 확대하려고 했던 교육부의 방침도 결국 코로나가 통제 가능한 상황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 것 아니겠는가”라고 짚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이전에는 18~49살 연령층에 대한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하는 시기를 기준으로 대면수업 확대 시기를 가늠했다면, 현 상황에서는 좀 더 종합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기본적으로 2학기 대면활동 확대는 획일적으로 하려던 게 아니어서, 대학 자체의 교육 여건 등을 보면서 논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2학기조차 원격수업이 대세가 될 경우 2년째 비대면을 감내 중인 대학생들의 등록금 불만 등은 더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에도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전대넷) 등 대학생 단체로 구성된 ‘2021등록금반환운동본부’가 대학 수업의 질이 저하되는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고, 지난해 7월에는 교육부와 대학을 상대로 전국 42개 대학 3500여명이 참여한 등록금 반환 집단소송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해지 전대넷 집행위원장은 “1학기 종강 직후인 7월6일부터 24일까지 대학생 응답자 248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9.3%가 지난해 2학기와 올해 1학기 등록금 반환 요구가 필요하다고 답했다”며 “수업권 침해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이라 등록금 반환 목소리가 지속해서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