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잘 들으면 얻을 수 있는 것들

등록 2021-08-02 17:49수정 2021-08-03 02:34

연재ㅣ강원국의 ‘공부하면 뭐 하니’

나는 말을 잘 듣는 사람입니다. 잘 듣는다는 의미는 두 가지입니다. 말귀가 밝다는 것이 그 하나입니다. 남의 말을 귀담아듣고 그 의미를 잘 이해합니다. 다른 하나는 시키는 일을 잘한다는 뜻입니다. 혼나지 않으려고, 인정받기 위해 열심히 합니다.

말을 잘 들으면 얻는 게 많습니다. 무엇보다 세상살이가 편합니다. 세상은 순응하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말을 잘 알아듣고 어떻게든 거기에 맞추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싫어할 이유가 없지요. 부모님이 학교 가는 아이에게 습관적으로 하는 말이 있습니다. “선생님 말씀 잘 듣고….” 여기에도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지요. 수업시간에 공부 열심히 하란 뜻도 있고, 말썽 피우지 말라는 의미도 있지요. 어쩌면 학교는 말 잘 듣는 사람을 길러내는 곳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말을 잘 들으면 얻는 게 많다. 무엇보다 세상살이가 편하다.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평가 능력도 생긴다. 남의 말은 내 생각을 만들어내고 ‘잘 들을수록’ 요약 능력도 키울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말을 잘 들으면 얻는 게 많다. 무엇보다 세상살이가 편하다.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평가 능력도 생긴다. 남의 말은 내 생각을 만들어내고 ‘잘 들을수록’ 요약 능력도 키울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말을 잘 들으면 지식과 정보도 얻습니다. 선생님 말씀을 들으면서, 친구나 가족과 대화하면서 많은 것을 알게 됩니다. 이 같은 사실은 직장생활 하면서 더 분명히 깨닫게 됐습니다. 상사가 잘 알려주는 사람이 일을 잘한다는 사실을요. 누군가 잘 알려주는 사람이 있고,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일을 잘할 수 있습니다. 아는 만큼 잘합니다. 잘 알려주면 일도 잘할 뿐 아니라 자신이 인정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알려주는 사람이나 조직이 고맙습니다. 조직에 충성(?)하는, 말을 잘 듣는 사람이 됩니다. 그런 사람에게 조직은 더 많이 알려줍니다.

남의 말을 잘 들으면 평가 능력도 생깁니다. 우리는 누군가의 말을 그냥 듣지 않습니다. 비판적으로 듣지요. 학교 다닐 적 우리 모두 그랬습니다. ‘저 선생님은 실력이 있어’ ‘담임선생님은 우리들에게 별 관심이 없어’ 이렇게 평가하며 들었지요. 친구들끼리 모여 이런 판단을 맞춰보면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직장생활을 해보니 남의 말을 평가하는 역량은 중요합니다. 남의 말을 들을 때 네 단계를 거칩니다. 그리고 네 가지 역량이 필요합니다. ‘무슨 말인지 알겠어’(이해력), ‘결론이 이것이지?’(분석력), ‘왜 그렇게 생각해?’(비판력), ‘내 생각은 이래’(창의력). 이런 이해력, 분석력, 비판력, 창의력을 아울러 평가 역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역량은 사회생활하는 데,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수적입니다. 보고를 받고, 누군가와 대화하고, 함께 논의할 때 반드시 필요합니다.

남의 말은 내 생각도 만들어냅니다. 나는 강의 듣는 것을 즐깁니다. 다른 사람의 강의를 듣다 보면 내 생각이 나고 기억도 떠오릅니다. 내 의견이 만들어집니다. 학교 다닐 적에도 그랬던 것 같습니다. 선생님 말씀을 들으면서 ‘저건 아닌 것 같은데?’ ‘저렇게 말씀하셔도 되나?’ 이러면서 내 생각을 길어 올렸습니다. 친구 얘기를 들을 때도 내 생각이 자꾸 나서 도중에 끼어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끝으로, 잘 들으면 요약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나는 요약 능력으로 회장의 연설문을 쓰고, 대통령 연설문을 쓸 수 있었습니다. 요약 능력에도 수준이 있습니다. 영화에 빗대어 얘기하면 이렇습니다. 영화를 보고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말하는 것은 중요한 것에 밑줄을 긋는 발췌 요약입니다. 1시간 반짜리 영화를 1분 동안 말하는 것은 줄거리 요약입니다. 이 영화는 ‘한마디로 이런 영화다’라고 규정하는 요약도 있지요. 나아가 영화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모두가 요약입니다.

글을 본격적으로 쓰면서 신문 칼럼으로 요약 훈련을 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칼럼니스트의 칼럼을 서른 편 출력해서 세 번씩 읽었습니다. 처음 읽을 때는 각 칼럼의 가장 핵심적인 한 문장에 밑줄을 그었습니다. 두 번째는 칼럼을 세 줄 이내로 압축했습니다. 줄거리 요약이지요. 세 번째 읽고 나선 칼럼니스트가 얘기하고자 하는 주제문을 써봤습니다. 주제문은 셋 중 하나였습니다. ‘사실이 이렇다’ 아니면 ‘내 의견이 이렇다’ 그리고 ‘이런 걸 하자’였습니다.

요약 능력에도 수준이 있습니다. 가장 낮은 수준은 압축하는 것이고, 그다음은 맥락을 읽는 것이고, 끝으로 배경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대통령의 말을 한 시간 듣고, 들은 내용을 15분짜리 연설문으로 쓰는 게 압축이고, 대통령 말의 빈칸을 채우는 게 맥락 읽기이며, 대통령이 그 말을 하고 싶은 이유나 취지, 의도를 손에 쥐는 게 배경 파악입니다. 여기까지 들을 수 있어야 온전히 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듣기로 얻을 수 있는 게 많지요? 하지만 여기서 그치면 안 됩니다. 잘 듣는 것은 잘 말하기 위해서입니다. 입력은 출력을 위한 것이고, 먹으면 싸야 하지요. 그래야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잘 들었으면 자기 말을 합시다. 저도 쉰 살 넘어서는 말하며 삽니다.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 저자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 저자.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 저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2.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은 33살 김녹완…신상공개 3.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은 33살 김녹완…신상공개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4.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서부지법 난동 4명 추가 구속…“도망 염려” 5.

서부지법 난동 4명 추가 구속…“도망 염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