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 입시분석가 / SK커뮤니케이션즈 이투스 입시정보실장
유성룡의 진학 상담실 /
?고2 문과생입니다. 1학년 때 내신이 정말 엉망인데 수시 지원이 가능한지요? 수시 쓸 때 1학년 내신보다 2, 3학년 내신이 더 중요하다고 하던데 2, 3학년 내신을 잘 관리하면 서울에 있는 이름난 대학에 갈 수 있는지요? 또 정시로 대학에 지원할 때 수능만 잘 보면 내신 때문에 떨어질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데 맞는 말인지요?
!요즘 가장 많은 질문이 바로 ‘내신이 안 좋은데 앞으로 열심히 하면 되느냐’는 것입니다. 네, 열심히 하면 분명 좋은 대학에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냥 열심히만 해서는 안 됩니다. 지원 대학의 학생 선발 방법, 특히 학생부와 수능시험 반영 방법 등을 꼼꼼히 알아보고 맞춤식(?)으로 대비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고려대와 연세대 인문계 모집단위의 경우 학생부는 국어ㆍ영어ㆍ수학ㆍ사회 교과 위주로 반영하고, 수능시험은 언어ㆍ외국어ㆍ수리ㆍ사회탐구 영역을 반영합니다. 또 학생부 학년별 반영 비율은 수시 모집의 경우 두 대학이 똑같이 1학년 20% + 2학년 40% + 3학년 40%로 반영합니다. 다른 대학들도 이와 비슷하게 반영합니다.
앞으로 학생부 성적을 1, 2등급 정도로 유지한다면 서울 소재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무리만은 아니라고 봅니다. 1학년 성적은 되돌릴 수 없는 만큼 앞으로의 성적 향상 방법에 집중해야 합니다. 수시 모집에서는 대다수 서울 소재 대학이 학생부 50% + 논술고사 50%로 뽑는다는 점을 기억하고, 논술고사를 함께 대비하길 권합니다. 논술고사는 단기간 준비로는 결코 좋은 성적을 못 얻습니다. 수준에 맞춰 꾸준히 대비하길 바랍니다.
또 하나의 질문인 ‘정시 모집에서 수능시험 성적이 좋으면 학생부 성적이 안 좋아도 되는 것인가’는 수치상(반영 비율)으로만 가능합니다. 최근 수능시험이 점수제로 환원되면서 대학들이 정시 모집에서 논술고사를 폐지하고 수능시험의 반영 비율을 높이거나 수능시험 성적으로만 뽑겠다고 밝히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수능시험의 출제 경향과 기출 문제를 보면 학생부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혹시 학생부 성적이 안 좋으니까 2학년 때부터 수능시험 위주로 대비하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면 생각을 달리하길 바랍니다. 학생부 성적이 좋아야 수능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습니다.
유성룡 입시분석가 / SK커뮤니케이션즈 이투스 입시정보실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