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정책] 교과부 국감자료서 밝혀…청소년들 “입시위주의 경쟁교육 고쳐야 한다”
우리나라 초,중,고교생들의 체력이 지난 9년간 계속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체력저하는 심각한 수준이다.
14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국회에 제출한 ‘2000~2008년 학생신체능력검사 결과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 학생들의 신체능력을 5등급으로 나누어 검사한 가운데 상위 등급 1,2 등급은 33%로 2000년 41%보다 8%나 감소했다. 반면 최하등급인 4,5등급의 비율은 42%로 2000년 31%보다 11%나 증가했다. 교과부는 해마다 468개 학교 7만5576명의 학생들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해 체력을 측정해왔다.
등급저하 현상은 50m달리기(9.22→9.39초), 팔굽혀펴기(31.27→30회), 윗몸일으키기(35.44→34회), 제자리멀리뛰기(180→174.06㎝),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13.84→12.72㎝), 오래달리기(7분32초→8분9초) 등 전 종목에서 확인됐다.
특히 고등학교 3학년의 체력저하가 전 학년 중 가장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은 1~2등급 비율이 2000년 53%였지만, 2008년에는 28%로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고, 반대로 4~5등급 비율은 2000년 22%에서 49%로 배 이상 증가했다.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은 1~2등급 비율이 2000년에는 42%였지만, 2008년에는 26%로 크게 떨어졌고, 4~5등급은 2000년 30%에서 2008년에는 52%로 증가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체육활동 시간 감소와 서구식 식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며 “특히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의 경우 입시에 대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하고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져 유연성 등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청소년들의 저하된 체력을 향상시키기위하 올해 초등학교부터 학생건강체력평가제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기존의 순발력과 민첩성 등 운동기능 위주의 체력평가를 심폐지구력, 유연성, 체지방 조절력, 근력 등 건강 중심으로 바꾼 것이다.
이에 대해 E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인 서아무개군은 “학생건강체력평가제도를 새롭게 도입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체력저하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고쳐야 한다. 바로 그 원인은 경쟁위주의 입시교육일 것이다. 이런 교육정책이 시정되지 않는 다면 학생들의 건강도 회복불능의 상태로 저하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오재호 기자 ghqkfwogh@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