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경남 이어 울산 조례 추진-보류 “신경쓰이네”
경상남도 교육청 등의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휴대폰 금지 조례가 울산 등으로 확대되려는 하는 분위기(울산에서는 10월 21일 조례 추진이 일단 보류 되었다)에 대해서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대부분의 학생은 휴대폰 조례에 대해서 크게 불편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도 광명고에 재학 중인 최 모양(19)은 휴대폰 조례에 대해 “고3이 되고 집에 귀가하는 시각이 밤 12시가 넘는 때가 많은 데, 휴대폰이 없으면 불편할 것 같다”라고 밝혔다.
경기 광명시 명문고에 재학 중인 S 모양(18) 도 “10시까지 야자하고 학원 끝나면 12시”라며 “휴대폰 없으면 집에 갈 때 부담스럽다” 고 말했다.
같은 학교 양 모군(19)은 “휴대폰 뿐 아니라 PMP를 못가지고 다니게 하는 것도 좀 아닌 것 같다”며 그 이유로 “전자사전이나 인터넷강의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상남도 교육청과 울산 교육청에서 추진 중이던 <휴대폰 조례>는 일단 <보류>되는 모양새이다. 아무래도 여론악화와 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 등의 시민단체와 인권단체들의 문제제기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휴대폰 조례 추진의 불씨가 아직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우선 절차상으로 조례심의가 내년 3월이면 미뤄진 조례안이 다시 상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수 교원들이 휴대폰 조례를 찬성하고 있다는 점도 조례가 다시 추진될 수 있는 유력한 근거로 된다. (지난 7월 서울교육청이 주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내 휴대전화 소지 금지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77.9%에 달했다. 찬성 이유로는 수업분위기 저해가 61%, 생활지도의 어려움이 31.5% 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질문에 대한 학생(초등학생)들의 답변에서 69.7%의 학생들이 휴대폰 사용 금지에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만중 기자 whysunrise@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같은 학교 양 모군(19)은 “휴대폰 뿐 아니라 PMP를 못가지고 다니게 하는 것도 좀 아닌 것 같다”며 그 이유로 “전자사전이나 인터넷강의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상남도 교육청과 울산 교육청에서 추진 중이던 <휴대폰 조례>는 일단 <보류>되는 모양새이다. 아무래도 여론악화와 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 등의 시민단체와 인권단체들의 문제제기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휴대폰 조례 추진의 불씨가 아직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우선 절차상으로 조례심의가 내년 3월이면 미뤄진 조례안이 다시 상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수 교원들이 휴대폰 조례를 찬성하고 있다는 점도 조례가 다시 추진될 수 있는 유력한 근거로 된다. (지난 7월 서울교육청이 주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내 휴대전화 소지 금지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77.9%에 달했다. 찬성 이유로는 수업분위기 저해가 61%, 생활지도의 어려움이 31.5% 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질문에 대한 학생(초등학생)들의 답변에서 69.7%의 학생들이 휴대폰 사용 금지에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다.)
| |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