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7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에서 한 수험생이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 어머니와 포옹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를 총괄한 정진갑 출제위원장(계명대 화학과 교수)과 김영욱 검토위원장(서울시립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은 17일 세종시 교육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 수준에 난이도를 맞췄다”고 출제 경향을 밝혔다. 올해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 영역은 “핵심 내용 위주로 평이하게 출제했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출제 난이도에 대해 말해달라.
“기본적으로 6월, 9월 모의평가 수준과 유사하게 본 수능도 출제했다. 모의평가와 연결선상에서 적정 난이도 유지가 중요하다. 적정난이도 일관성 유지가 핵심이었다.”
- 영어영역은 내년부터 절대평가로 바뀌고, 올해가 마지막으로 상대평가이다. 기존 난이도 논란이 많은 영역이었는데, 올해는 어떤가?
”절대평가는 내년도에 시작되는 문제이고, 올해는 기존 교육과정에 맞춰 출제했다. 다만, 변별력을 위해 일부 난이도 있는 문제를 출제했다.”
- 영역마다 최고 난도 문제를 얼마나 넣었나?
”과목마다 문항 개수가 다 달라 일괄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지만, 최고 목표는 표준점수로 변환했을 때 차이 없도록 했다. 탐구영역이나 제2외국어는 과목 선택에 따라 유불리 현상이 나타나므로 그렇게 되지 않도록 했다.”
- 만점자 비율 어느 정도 맞추려 했나?
”최근에는 만점자 비율 신경 안쓰고 있다. 기존에는 만점자 몇 퍼센트인지 중요했지만, 최근에는 오류없는 문항이 최우선이고 전체적으로 만점자 비율 몇 퍼센트 나오냐는 고려하지 않았다.”
- 오류없는 문항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출제단에서 1차 문제들을 내면, 2차 검토단이 들어와 학생 입장에서 시험을 치른다. 그 뒤 여러 의견을 피드백한다. 출제와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그밖의 장치를 갖고 피드백들을 한다. 그다음 교차 확인했다. 최종적으로 문항점검위원회가 있다. 각 과목마다 빠짐없이 개최해 출제진과 검토단이 모여 토론을 한다.”
- 올해 모의고사 유출사고가 있었다. 수능 문제 유출에 대한 대비는 어떻게 했는가?
”6월, 9월 모의평가 출제를 완료하고 나서 시행하기까지 시간이 좀 있다. 그 사이 문제가 유출되면서 사고가 발생한 거다. 본시험은 출제위원단이 출제본부에 격리된 채 있다. 검토위원장과 저만 브리핑을 위해 보안요원과 함께 나온 것이다. 출제위원단 분들은 밖에 나올 수가 없다. 밖에서 안에 들어갈 때도 검색 강화했다. 외부 보안도 더 강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 이번 수능에서 경찰의 지원병력도 훨씬 증원했고 인쇄본부, 출제본부의 외부 보안은 훨씬 강화됐다. 입소퇴소시 철저한 보안검색이 실시되고 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