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광주 남구 한 아파트에서 초등학교 1·3학년 형제가 온라인 개학을 맞아 노트북과 태블릿 PC로 원격수업을 듣다가 장난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최대 7주 동안 개학이 연기된 사이 학생들의 학습 시간은 방학 때와 비슷한 4.4시간으로, 학기 중(9시간)의 절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수면과 휴식, 자기계발 등에 쓴 시간은 학기 중보다 늘어, 방학 때와 유사한 생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3월27일~4월3일 학부모(5만5380명)와 학생(3만9244명) 9만46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해 최근 낸 ‘코로나19 개학 연기에 따른 초·중·고 원격학습 실태조사’ 보고서엔 이런 내용이 담겼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학생들은 일반 학기 중에는 학습에 평균 9시간, 수면 8.1시간, 휴식 3.2시간, 계발 1.9시간 등으로 시간을 나눠 하루를 보냈다.
반면 개학 연기 기간에는 학습 시간이 4.4시간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는데, 이는 4.5시간 동안 학습을 했다는 방학 때와 비슷했다. 개학이 연기된 동안 수면(9.1시간)과 휴식(4.9시간), 계발(2.4시간)에 쓴 시간은 학기 중보다 조금씩 더 많았다. 이 역시 평균 9시간 자고, 4.6시간 쉬고, 2.5시간 계발 활동을 했다는 방학 때와 비슷했다. 수업일수까지 줄여가며 장기간 학교에 나가지 못했던 시간이 학생들에게는 사실상 ‘방학 연장’이었던 셈이다.
개학 연기 기간 동안 학원 수업을 들은 시간은 방학 중 1.8시간보다 적은 1.1시간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정부가 학원에 여러 차례 휴업을 권고한 영향으로 보인다. 그 대신 이 기간에 집에서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공부한 시간은 일반 학기 중 0.8시간, 방학 중 1.2시간보다 긴 1.7시간으로 조사됐다.
학생 10명 가운데 6명은 온라인 개학 전 학교와 선생님의 안내로 원격학습을 접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집에 학습을 도와주는 사람이 없다는 학생의 비율도 60.5%에 달했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