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첫 등교를 시작한 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서울포이초등학교에서 초등학생들이 학교로 들어가며 손소독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정부가 특수학교 교사와 보건교사 등 3만여명에 대한 백신 접종을 애초 계획했던 3분기(7~9월)보다 앞당겨 상반기 안에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2년차에 접어들면서 등교 확대 여론이 커지고 있어 교육계의 ‘교사 우선 접종’ 요구를 받아들이되, 백신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한 결정이다.
이런 내용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이 15일 발표하는 ‘2분기(4~6월) 백신 접종 계획’에 담길 예정이다. 앞서 12일 정세균 국무총리는 “특별히 보호받아야 할 장애아동을 교육하는 특수학교 교사와 학생 건강에 밀접히 관련된 보건교사에 대한 접종을 먼저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 보건교사는 약 1만명(기간제 포함),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의 특수학급 교사는 약 2만2천여명이다.
전국 유·초·중·고의 교직원은 약 70여만명으로, 지난 1월 방역당국이 발표한 백신 접종 계획을 보면 소아·청소년의 교육·보육시설 종사자는 3분기 접종 그룹에 포함돼 있다. 빠르면 7월부터 접종을 받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백신 접종 효과는 2학기에나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백신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하면, 모든 교직원이 상반기에 우선 접종받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교육부도 특수·보건교사, 유치원·초 1~2학년 교사, 돌봄종사자 등 학생들과의 접촉면이 많은 교직원부터 우선 접종받을 수 있도록 방역당국과 협의해왔다.
다만 학교당 1~2명씩 배치된 보건교사의 경우 백신을 통한 방역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보건교육포럼이 보건교사 66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절반이 넘는 53%가 보건교사가 다른 직종보다 우선 접종을 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가장 큰 이유는 “교내 일부 교사만 접종해서는 학교 방역 강화에 실효성이 없어서”(61%)였다. 서울 성북구의 한 중학교 보건교사는 “보건교사가 감염 우려가 큰 학생을 대면하는 것은 맞지만, 발열 검사와 일시적 관찰실 이동 등 학교 방역 체계에는 일반 교사나 방역 도우미도 투입된다”고 말했다. 보건교사들은 가장 적합한 접종 기준으로 수도권 등 코로나19 유행이 심각한 지역 학교의 전체 교직원을 대상으로 우선 접종하는 방안(35%)을 꼽았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