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카페 등에 대한 방역패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13일 낮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시민들이 식당출입 전 예방접종 증명을 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전화는 안 되고, 접종 완료 날짜 나와 있는 증명서가 확인돼야 들어갈 수 있어요!”
“지금 사람이 몰려서 인터넷이 안 터져요. 수기 작성은 안 돼요?”
13일 오전 11시40분께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 해장국 식당에 손님 15여명이 스마트폰과 식당 직원을 번갈아 쳐다보며 줄을 섰다. “정말 귀찮네.” 대기 시간이 길어지자 짜증을 내는 이들도 하나둘 늘었다. 일행 중 일부가 접종완료 증명서가 없어 식당을 되돌아 나오는 이들도 있었다.
식당·카페 등에서 ‘방역패스’를 미확인할 시 이용자와 운영자에게 과태료 부과가 시작된 첫날인 이날, 곳곳에서 혼선이 벌어졌다. 제도 시행을 잘 모르는 이들이 여전히 있고, 다소 복잡한 기준 때문이다. 방역패스 확인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자영업자들의 불만 섞인 목소리도 나왔다.
이날부터 전자출입명부(큐아르(QR)코드)를 이용한 접종증명서나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확인서 등을 확인받지 않고 식당·카페 등에 입장한 이용자는 10만원의 과태료를, 확인하지 않고 입장시킨 업소 운영자는 150만원의 과태료와 10일 영업정지 처분을 받는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에 능숙하지 못한 고령층은 방역패스를 만들고 사용하는데 혼란스러워했다. 서울 종로구에서 점심식사를 마치고 나온 나아무개(81)씨는 “목욕탕을 가든 카페를 가든 다 필요하다고 해서 오늘 주민센터 가서 주민등록증에 스티커를 붙여왔다”며 “핸드폰으로 (증명) 하라는 거는 노인들 다 못한다”고 말했다. 강남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송아무개(45)씨는 “어르신의 경우 우리가 직접 스마트폰을 받아 문자까지 다 뒤져서 백신접종 증명서를 찾아내기도 한다”고 말했다.
13일 서울 강남구 한 국숫집 앞에 붙여있는 안내문. 박지영 기자
바쁜 식사시간에 방역패스를 확인하기에는 일손이 부족하다는 하소연도 나왔다. 강남구에서 국숫집을 운영하는 윤경남(53)씨는 “제대로 확인하려면 사람을 1명 더 고용해야 한다. 손님들을 믿고 장사할 수밖에 없다”며 “방역 패스를 일일이 설명할 수 없어 출입문 앞에 설명문을 붙여놨다”고 말했다. 방역패스 도입으로 어쩔 수 없이 직원을 더 고용했다는 업주도 있었다.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에서 스터디카페 세 곳을 운영하는 김아무개(42)씨는 “방역패스도 체크하고, 출입자 명부도 확인하는 매니저를 새로 고용했다”며 “매출이 코로나 이전보다 50% 떨어져 임대료도 간신히 낼 수준인데 인건비를 추가하며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스터디카페는 떠들지도 않고 공부하는 공간인데 방역패스를 적용한다는 게 부담스럽다”면서도 “그래도 접종 완료된 사람들이 방문해 코로나19 확산 위험이 떨어진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다고 본다. (방역패스의) 취지는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인이 운영하는 식당이나, 고령층이 많은 지역의 경우에는 방역패스를 확인하지 않는 곳도 보였다. 종로구의 한 음식점은 큐아르 코드 기계도 들이지 못하고 수기명부만을 내놓은 채 운영을 하고 있었다. 업주인 성아무개씨는 “혼자 일하는데 (백신 패스 확인을) 어떻게 하나”라며 “접종했다고 귀로 듣고 넘어가는 거지, 바빠 죽겠는데 확인 못 한다”고 말했다. 종로구의 다른 음식점은 고객들의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채 안심콜 번호만을 안내하고 있었다.
이날 점심시간에는 방역패스를 확인하는 질병관리청 쿠브(COOV·전자예방접종증명서) 앱 등 큐아르 코드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며 시민들이 혼란을 겪기도 했다. 종로의 한 카페에서 일하는 이가희(24)씨는 “쿠브 앱은 물론이고 다른 앱을 통한 QR 체크도 안 되는 사람들이 많더라”며 “결국 몇분은 되돌려 보낼 수밖에 없었다. 방역패스를 어기면 과태료가 커서, 얼마 더 벌자고 위험부담을 감수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13일 서울 종로구의 한 김밥집 키오스크에 붙여있는 안내문. 장현은 기자
이우연 박지영 장현은 고병찬 기자
az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