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입어 정부지원을 받은 피해자가 전년보다 4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피해자가 전년 대비 갑절로 늘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지난해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지원센터)를 운영해 모두 6952명에게 상담, 촬영물 삭제, 수사·법률·의료 등 18만8천여건의 피해 지원을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피해자는 2020년 4973명 대비 39.8%, 서비스 지원 건수는 10.2% 늘었다. 여가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설치·운영하는 지원센터는 2018년 4월 개소 이후 지난해까지 피해자 1만2661명에게 49만4079건의 피해자 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다.
2021년 지원 피해자 10명 중 7명 이상(73.5%, 5109명)이 여성이었다. 2020년엔 8명꼴(81.4%, 4047명)이었다. 특히 남성 피해자가 1843명으로 전년(926명)보다 2배 가까이 늘고 성별 비중도 26.5%(전년도 18.6%)로 7.9%p 커졌다. 여가부는 불법촬영 협박(몸캠피싱) 피해 신고가 크게 늘면서 남성 피해자도 증가한 것으로 풀이했다.
전체 피해자의 연령별로는 10대(21.3%)·20대(21.0%)가 42.3%(2942명)를 차지해, 연령을 밝히지 않은 그룹(46.4%)을 제외하고 가장 많았다. 디지털 기기나 온라인 환경에 친숙한 저연령층이 상대적으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에 더 노출돼있는 셈이다.
피·가해자 관계를 살펴보면, 가해자가 누구인지 전혀 알 수 없는 경우가 51.7%(3593명)로 가장 흔했고, 일시적 관계 28.2%(1963명), 모르는 사람 7.9%(548명), 친밀한 관계 7.8%(539명) 순으로 많았다.
디지털 성범죄의 가장 심각한 피해는 유포와 관련된 것이었다. 피해자들이 지원센터에 접수한 피해 유형(복수의 피해가 포함)을 보면, 유포와 유포 협박, 유포 불안 피해가 전체 사례의 64.7%(1만353건 중 6702건)를 차지했다. 삭제 지원은 16만9820건으로 전년(15만8760건)보다 7% 증가했다. 이 가운데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은 3만3437건으로 총 삭제 지원 수의 19.7%에 달한다. 지난해 6월 성폭력방지법 개정으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은 피해자 요청 없이도 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선제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플랫폼별 삭제 지원은 성인사이트가 5만9113건(34.8%)으로 가장 많았고, 소셜미디어 3만1980건(18.8%), 검색엔진 3만372건(17.9%)이 뒤를 이었다.
한편 지원센터의 업무량은 해마다 누적돼 늘어나고 있지만 인력은 39명(정규직 11명, 무기계약직 6명, 기간제 22명)으로 지난해와 같다. 1인당 피해자 178명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지원센터의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에 대한 선제적 삭제를 강화하는 등 피해자가 안전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피해자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