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왜 그런 걸 해서는!”…‘성착취’ 아이 보호자, 이 말만은 피해야

등록 2022-07-01 05:00수정 2022-07-01 11:23

성착취로 이어지는 3가지 길ㅣ보호자를 위한 조언
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성착취 피해를) 신고하면 부모님 귀에 들어가 혼날 거 같아서…. 지금도 모르시거든요.”(‘아동·청소년 성착취 피해예방과 인권적 구제 방안 실태조사’ 중 피해자 인터뷰, 국가인권위원회) 대다수 아동·청소년 성범죄 피해자가 부모나 교사 등 보호자에게 피해 상황을 알리기를 꺼립니다. 이들은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 하지만, 보호자에게 혼날 것을 두려워하는 거죠. 보호자가 피해자에게 건네는 첫 한마디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①비난,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말

“그러니까 그런 걸 왜 해가지고….” “네가 스스로 사진을 보냈단 말이야?” “어떻게 그럴 수 있어?” 시민단체 십대여성인권센터는 보호자가 아동·청소년 피해자에게 이런 말을 절대 해선 안 된다고 조언합니다. 성착취는 성범죄 가해자의 잘못이고, 그것이 범죄라는 점을 보호자가 짚어줘야 한다는 겁니다. 나아가 아이들이 전문 상담기관과 수사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해주세요. 지나친 비난을 받은 피해자는 더 심한 비난을 받을까 걱정해 성착취 정황이 드러나는 대화 내용(증거) 등을 삭제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는 피해자가 위축되지 않도록 피해 상황에 대한 언급은 피하고 평소처럼 대해주세요.

②피해 정황을 직접 캐묻지 않기

“언제, 어디에서 그런 일이 있었던 거니?” “도대체 어떤 대화를 나눈 건지 좀 보자.” 보호자는 답답한 마음에 직접 피해 상황을 파악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아동·청소년이 성착취 피해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은 큰 용기가 필요한 일입니다. 당연히 보호자에게 말하는 것도 어렵겠죠. 그런데 보호자에게 캐묻는 질문만 받는다면, 피해자는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그 뒤 이어질 상담·수사기관과의 신뢰관계 형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성착취 피해 상황을 샅샅이 아는 것은 보호자에게도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습니다.

③증거 보존하기

디지털 성착취 피해는 ‘없던 일’로 되돌리기 힘듭니다. 가해자가 협박을 멈췄다고 해서 끝난 게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수년이 지나 가해자가 다시 연락해 오기도 합니다. 그래서 신고 등 대응이 더욱 중요합니다. 증거 보존은 필수입니다. 간혹 아동·청소년 피해자에게 성착취자와 연락한 에스엔에스(SNS) 계정이나 성착취자에게 보낸 사진·영상을 삭제하라고 하는 보호자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가해자 검거가 어려워질 수 있어요. 증거를 보존해 상담기관 혹은 수사기관에 상의하세요.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3배 무거운 눈 ‘습설’이 덮친 600년 천연기념물…백송 부러져 1.

3배 무거운 눈 ‘습설’이 덮친 600년 천연기념물…백송 부러져

한동훈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불법정차 뒤 국힘 점퍼 입어” 2.

한동훈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불법정차 뒤 국힘 점퍼 입어”

의사·간호사·약사 1054명 “윤석열 정책, 국민 생명에 위협” 3.

의사·간호사·약사 1054명 “윤석열 정책, 국민 생명에 위협”

‘윤 대통령 모교’ 서울대 교수들 “사죄의 심정”…525명 시국선언 4.

‘윤 대통령 모교’ 서울대 교수들 “사죄의 심정”…525명 시국선언

천주교 신부 1466명 “윤석열에 파면 선고” 시국선언 5.

천주교 신부 1466명 “윤석열에 파면 선고” 시국선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