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 검사징계위원회 2차 심의에 증인으로 출석한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이 2020년 12월15일 오후 심문을 마친 뒤 과천 법무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임기를 1년 넘게 남기고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 부장은 2019년 취임 뒤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 쪽과 계속 각을 세워 온 인물이라 ‘밀어내기’에 의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6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한 부장은 최근 법무부에 사의를 표명했다. 아직 사표가 수리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판사 출신인 한 부장은 2019년 10월 법무부가 검찰에 대한 감찰권 강화를 추진하면서 임명된 인물이다. 지난해 10월 한 차례 연임이 이뤄져 정해진 임기는 2023년 10월까지였다. 한 부장은 최근까지 주위에 ‘임기를 채우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한 부장이 정해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그만두는 이유는 법무부의 ‘밀어내기’에 따른 결과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 부장은 검찰총장 시절 윤석열 대통령 및 당시 한동훈 검사장과 계속해서 각을 세워왔던 인물이다. 2020년 4월 <채널에이(A)> 사건(‘검언유착 의혹’ 사건) 당시 한 부장은 이 사건에 연루된 윤 대통령의 측근 한동훈 검사장에 대한 감찰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수차례 요청에도 감찰부서를 ‘패싱’하고 대검 인권부에 진상조사를 맡겼다.
한 부장은 지난 5월 한동훈 장관의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당시 윤 대통령의 반응을 증언한 바도 있다. 그는 2020년 4월 채널에이 사건 감찰 착수를 보고한 당시, “(한 후보자에 대해) 압수수색을 하겠다고 하니 ‘쇼하지 말라’며 격분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 부장은 2020년 11월 이른바 ‘판사사찰 문건’ 의혹을 두고 윤 대통령에 대한 ‘정직 2개월’ 징계 처분을 주도한 인물이기도 하다. 앞서 서울행정법원은 지난해 10월 윤 대통령에 대한 정직 2개월 징계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한 바 있다. 당시 재판부는 채널에이 사건 당시 윤 대통령이 대검찰청 감찰과 일선 수사를 방해했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 당선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취임 뒤 한 부장의 입지는 매우 좁아졌다. 대검 감찰부장의 오른팔 노릇을 해야 하는 대검 감찰1과장 자리에, 한동수 부장을 수차례 공개 비판했던 정희도 검사를 인사 발령한 게 단적인 예다. 한 부장의 사의 표명 및 사유에 대해 묻자 법무부 관계자는 “인사와 관련된 내용이라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전광준 기자
ligh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