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3일 오전 서울시청 인근에서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 대책촉구’ 추모 문화제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여성 노동자를 야간 당직에서 빼겠다’ 이걸 대책이라고 이야기하는 서울교통공사가 바로 여성 혐오 주범이다. ‘신당역 사건’은 분명 일터에서 발생한 젠더폭력이자 중대재해다.” (박희은 민주노총 여성위원장)
서울교통공사 노동자들이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 피해자’를 추모하고 공사와 서울시에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교통공사 노조는 23일 오전 서울시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신당역 사망 역무원 추모 및 안전대책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피해자가 가장 안전하다고 느꼈을 일터에서 야간 당직을 서고 혼자 순찰 돌다가 피해자는 끔찍하게 죽었다”며 “지하철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안전해야 시민이 안전하다. 공사와 서울시는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일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자리에서 “역 근무제도와 관련해선 사회복무요원을 재배치하고 여직원에 대한 당직 배치를 줄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근무제도를 바꿔나가겠다”고 했다. 또한 “역내 모든 업무에 현장 순찰이 아닌 시시티브이(CCTV)를 이용한 가상 순찰을 도입해 이상 징후가 있거나 문제가 있으면 현장에 나가보는 방향으로 순찰 시스템을 바꾸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통공사 노조는 해당 발언을 두고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공사와 서울시가 역무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박희은 민주노총 여성위원장은 “이 사건을 개인의 일탈 문제로 볼 게 아니라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신민석 교통공사 노조 역무본부 사무국장은 “현재 역무원들은 취객, 각종 악성 민원, 인력 부족 등으로 고통받고 있지만 공사는 적자를 핑계로 인력감축을 하고 있다”며 “공사와 서울시는 2인1조 근무수칙을 현실화하고 폭력에 노출된 역무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