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발사주’ 의혹 최초 제보자인 조성은 씨가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국민의힘 의원들을 고소한 사건에 대한 고소인 조사를 받기 위해 2021년 11월10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로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발사주’ 의혹의 공익제보자 조성은씨가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고발장을 접수해야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당선돼도 의원직을 상실하게 할 수 있다’는 취지로 ‘보낸다’는 표현을 썼다고 법정에서 증언했다. 김 의원을 처음 만난 자리에서 <중앙일보> 쪽이 21대 총선을 응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도 증언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7부(재판장 김옥곤) 심리로 2일 열린 손준성 서울고검 송무부장(검사)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공판에 조씨가 증인으로 출석해 오전 10시부터 저녁 8시40분까지 법정공방이 벌어졌다. 피고인석에 앉은 손 부장은 조씨가 자신의 이름을 언급할 때면 이따금 조씨를 바라보고 메모를 적어 변호인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 조성은 “김웅, 최강욱 ‘보낸다’ 표현 사용”
2020년 4월3일 ‘1차 고발장’을 받은 조씨는 4월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마치고 김 의원과 대화를 나눴다고 진술했다. 김 의원은 당시 21대 총선을 앞둔 후보자 신분이었고 조씨는 미래통합당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이었다. 조씨에게 전달된 고발장에는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김건희씨, 한동훈 당시 검사장 등이 피해자로, 피고발인이 최강욱 후보자 등으로 적시돼 있었다.
검사: “4월5일 김웅 의원이 ‘최강욱 의원 고발장을 선거 전 미리 접수해야 당선돼도 유죄 판결이 나서 의원직을 상실시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까.”
조성은: “‘보낸다’ 이런 표현을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검사: “무슨 의미인가요?”
조성은: “‘보낸다’는 건 적절한 설명이 될지 모르겠지만, 법 고발 조치를 통해서 정치적 활동을 못 하게 하는 취지 아니었나 추측합니다.”
판사: “검사가 물어본 대로 말을 했는가요?”
조성은: “그 취지로 기억하고 제 기억에 최강욱 당시 후보에 대해서는 (김 의원이) 몇 차례나 적대적인 표현 한 걸로 기억합니다.”

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2022년 10월14일 오전 경남 창원시 의창구 경남도청에서 열린 2022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남도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이야기 ‘고발사주 의혹’은 21대 총선을 앞둔 2020년 4월 검찰이 범여권 인사 등에 대한 고발장을 작성해 당시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총선 후보였던 김웅 국민의힘 의원에게 전달했다는 의혹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손준성 서울고검 송무부장(당시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으로부터 전달된 고발장 등 관련 자료들이 김 의원을 통해 ‘제보자’ 조성은씨에게 전해졌다고 판단하고 있다. 공수처는 2021년 9월 수사에 들어갔지만, 손 부장 구속에 연달아 실패하면서 손 부장 ‘윗선’을 규명하지 못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