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철 신임 서울남부지검장이 취임 첫 공식 일정에서 야권에 대한 검찰의 ‘표적 수사’ 우려에 대해 “공정하고 우려가 없게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검장은 8일 오전 취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남부지검은 전국 253개 지역구 중에 10개 지역구를 담당하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 검찰에서 해야 할 공명선거, 선거부정 감시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처럼 밝혔다.
남부지검은 서울 여의도 지역을 관할하기 때문에 굵직한 경제 범죄와 국회 관련 수사를 담당해왔고, 특히 내년 4월 22대 총선을 앞두고 ‘선거 사범’ 수사에 대비해야 한다. 김 지검장은 대검찰청 공안3과장과 공안2과장, 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 등을 지내며 검찰 내 ‘공안통’ 중에서도 선거 전문이라고 평가받는다. 김 지검장은 “인사권자의 마음을 짐작해보진 않았지만, 내년 선거에 큰 의미가 있는 것 같진 않다. 제가 공공수사부장 출신이라고 해서 과도한 의미 부여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검장은 남부지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야권 관련 수사에 대해 “공정하게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남부지검은 김남국 무소속 의원의 가상자산(암호화폐), 전 정부 인사들과 야당 의원들이 연루된 3대 펀드 사기 사건(디스커버리·라임·옵티머스)을 수사 중이라 ‘윤석열 사단’으로 분류되는 김 지검장 취임 이후 야권을 중심으로 ‘표적 수사’ 우려가 나왔다. 김 지검장은 “남부지검에 와 사건들을 쭉 봤더니 알고 있던 사건들은 극히 일부분에 불과해서 정말 ‘공안 경력’때문에 여기 온 것은 정말 아니라는 걸 알았다”며 “(검찰 수사는) 전문성이 제일 중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김 지검장은 남부지검이 ‘금융·증권범죄 중점청’인 만큼 관련 관계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금융·증권 시장 질서를 확립해나가겠다고 했다. 김 지검장은 “국민 상당수가 주식과 가상자산 투자에 나서는 만큼 사적인 이익을 위해 시장·게임의 규칙을 파괴하는 사람이 있다면 국가가 나서서 역할을 해야 한다”며 “공정하고 투명하게 시장 질서가 돌아갈 수 있도록 정확·신속하게 법 집행에 나서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남부지검은 그 어느 검찰청보다 많은 외부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검찰만 일하는 시대가 아니니 경찰과 다른 기관과의 협력도 훨씬 유기적으로 하겠다”고 했다.
서울 현대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김 지검장은 1996년 38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울산지검 공안부 부장검사, 대검찰청 공안과장,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 대검찰청 공공수사부장 등을 역임했다. 김 지검장은 지난 2018년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이었던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근무(형사7부장)하며, 윤 대통령의 검찰총장 인사청문회 준비단에 합류하기도 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고등학교 선배이기도 하다. 김 지검장은 지난 2020년 1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검찰 중간 간부 인사를 단행할 당시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이 대검찰청에 남겨달라고 마지막까지 요청했던 검사 6명 중 1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고병찬 기자
ki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