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자금 조성 의혹 등으로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의 검찰 소환을 앞둔 10일 오전 서울 양재동 현대.기아차 건물이 빗물에 비춰 보이고 있다. 이종근기자 root2@hani.co.kr
검찰 “현대차 채무탕감 청탁받고 수억 받은 혐의”
현대차 비자금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박영수·주임검사 최재경)는 14일 “현대차 계열사의 채무를 탕감해달라”는 청탁을 받고 수억원을 받은 혐의로 박상배(61) 전 한국산업은행 부총재를 긴급체포해 조사 중이다.
검찰은 전날 구속된 김동훈(58) 전 안건회계법인 대표가 현대차 쪽으로부터 받은 로비자금 41억6천만원 가운데 수억원을 박 전 부총재에게 건넨 것으로 보고, 박 전 부총재를 추궁하고 있다. 그러나 박 전 부총재는 “돈을 받은 사실이 없다”고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또 김씨한테서 돈을 받은 혐의가 포착된 자산관리공사 임원 1명도 불러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은 이번 사건이 부실기업을 정리하기 위해 국민세금으로 조성된 공적자금이 재벌의 로비를 통해 부당하게 집행된 중대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로비 실체를 끝까지 파헤친다는 방침이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사건은 국민세금으로 만든 공적자금 시스템을 이용해 대기업이 로비를 하고 채무탕감을 받은 사례”라며 “외환위기 들어가면서 만들어진 시스템을 최대한 악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채 기획관은 이어 “대기업이 로비자금까지 찔러주면서 로비해서 채무 탕감을 받고 탕감액 상당은 공적자금으로 충당되는 등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 벌어졌다”며 “여러 사람이 관여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로, 모럴해저드가 심각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실체를 파악한 뒤)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설마했는데 이런 일들이 어떻게 백주에 벌어질 수 있었는지, 막상 사실로 드러나니까 사실 수사팀도 우울하다”며 철저한 수사를 다짐했다. 채 기획관은 또 유동성 확보를 위해 할인매각이 불가피했다는 산업은행의 해명에 대해서는 “이번 사건에서 산업은행은 할 말이 없다”며 일축했다.
앞서 검찰은 2001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현대차 김아무개 기획본부장과 ㈜위아의 한아무개 재경담당 임원한테서 “현대차 계열사인 ㈜위아와 기아차 하청업체인 ㈜아주금속공업의 채무 2천억원을 조정해 달라”는 청탁과 함께 14차례에 걸쳐 41억6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김씨를 구속했다. 검찰은 김씨가 받은 돈 가운데 상당액이 로비자금으로 흘러간 것으로 보고 있다.
--- 박상배, 누구인가? 박상배 전 산업은행 부총재는 2002년 9월, 대북송금 의혹이 불거진 때부터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박씨가 산업은행 이사로 있던 2000년 6월, 현대상선에 대북송금 자금으로 의심되는 4천억원을 부정하게 대출해줬기 때문이다. 박 전 부총재는 대북송금 특별검사팀의 첫 수사 타깃이었다. 특검팀은 현판식 다음 날 박 전 부총재의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하고, 대북송금 의혹을 밝혀낼 여러 단서를 입수하는 수확을 올렸다. 박 전 부총재는 그뒤 배임죄 등으로 불구속 기소돼 집행유예형을 선고받았으나 2004년 5월 사면·복권됐다. <한겨레>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 박상배, 누구인가? 박상배 전 산업은행 부총재는 2002년 9월, 대북송금 의혹이 불거진 때부터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박씨가 산업은행 이사로 있던 2000년 6월, 현대상선에 대북송금 자금으로 의심되는 4천억원을 부정하게 대출해줬기 때문이다. 박 전 부총재는 대북송금 특별검사팀의 첫 수사 타깃이었다. 특검팀은 현판식 다음 날 박 전 부총재의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하고, 대북송금 의혹을 밝혀낼 여러 단서를 입수하는 수확을 올렸다. 박 전 부총재는 그뒤 배임죄 등으로 불구속 기소돼 집행유예형을 선고받았으나 2004년 5월 사면·복권됐다. <한겨레>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