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대법관 후보로 제청된 안대희 서울고검장이 7일 서울 서초동 서울고검 사무실에서 전화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구현 힘쓸 것”
2억6천만원 신고 재산 최하위
2억6천만원 신고 재산 최하위
“검찰에서도 법률가로서 원칙을 갖고 일해 왔고, 앞으로 (대법원에서도) 그 원칙대로 일할 겁니다.”
2003년 대선자금 수사를 지휘하며 ‘국민 검사’란 별명까지 얻은 안대희 서울고검장은 7일 대법관에 제청된 뒤 “청문회 등 절차가 남아 있어 입을 떼기 조심스럽다”면서도 “법적 안정성과 인권옹호, 형평성 등을 포괄하는 개념인 ‘정의’를 구현하도록 노력해 왔으며, 이는 앞으로도 여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만 스무살 때인 1975년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사법시험에 합격해 검찰에 투신한 그는 자타가 공인하는 검찰내 특수통으로 통한다. 전두환 정권 초기 평검사 시절 ‘불량연탄’ 수사를 통해 이름을 알린 그는 부산·인천지검 특수부장을 시작으로 중수 1·3과장, 서울지검 특수 1·2·3부장 등 특수통들이 거치는 주요 보직을 모두 경험했다.
순탄찮은 시절도 있었다. 97년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줄곧 한직을 맴돌았고, 동기들 가운데 가장 늦게 검사장으로 승진했다. 참여정부 출범 뒤 대검 중수부장으로 부임한 그는 2002년 대선 당시 사용된 정치자금 수사에 착수해 노 대통령 측근들의 정치자금 수수와 한나라당의 ‘차떼기’ 사실 등을 밝혀냈다. 이 수사로 정경 유착과 검찰의 ‘권력 예속’을 일거에 깼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다음 인사에서 부산고검장으로 좌천성 승진을 하며 수사 일선에서 물러났다.
부산고검장에 이어 올해 초 서울고검장으로 부임한 그는 최근 ‘공부’에 전념해 <조세형사법> 등 저서를 펴냈고, 현재 서울대와 건국대 대학원에도 출강하고 있다. 검찰 간부들 가운데 드물게 강북 쪽(홍은동) 아파트에 살고, 올해 초 공직자 재산공개 때 2억6천만원을 신고해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청렴성도 인정받는다.
그러나, 평생 부패 척결과 형사법에만 매달려 온 ‘특수 검사’가 인권수호의 최후 보루인 대법원에서도 소임을 제대로 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