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원영 전 캠코 사장 체포 파장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 진두지휘 핵심인물
비리 더있을 가능성…전면 재조사 필요할듯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 진두지휘 핵심인물
비리 더있을 가능성…전면 재조사 필요할듯
현대차그룹 비자금 사건과 관련해 연원영 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이 검찰에 체포된 것은 그가 외환위기 이후 100조원이 넘는 부실채권을 처리한 정부투자기관의 수장이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다. 연 전 사장이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질 경우 그동안의 부실채권 처리와 관련해 전면적인 조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재무부(현 재정경제부) 이재국 출신인 연 전 사장은 1999년엔 외환위기 이후 기업·금융 구조조정을 지휘한 금융감독위원회의 구조개혁기획단 총괄반장까지 지냈다. 누구보다도 구조조정과 부실채권 처리에 밀접하게 관여한 인물인 것이다.
연 전 사장이 체포된 것은 2002년 현대차 부채탕감 비리와 관련해 금품을 받은 혐의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검찰은 현대차가 위아(옛 기아중공업)와 아주금속공업의 채무 1천억원 가운데 200여억원 가량을 부실채권 처리 시스템을 악용해 탕감받은 혐의를 두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특히 연 전 사장이 위아 건과 관련됐을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치고 있다. 위아가 당시 빚을 갚지 못하고 연체를 하자, 캠코가 부실채권을 다시 산업은행에 환매했는데, 이 과정에서 비리가 개입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위아 채권이 당시 환매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논란이 될 수 있다.
이정훈 현 캠코 자금부장(당시 자산유동화부장)이 체포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자산유동화부장이라는 직책은 당시 부실채권 처리를 담당하는 핵심부서장이었기 때문이다.
박상배 산업은행 부총재와 변양호 전 재경부 금융정책국장이 구속된 데 이어 이들 두 사람이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질 경우 당시 부실채권 처리 시스템에 총체적인 비리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부실채권 정리 시스템은 외환위기 이후 금융기관이 부실화되자 금융기관이 보유 중인 부실채권을 정리함으로써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회복시키고자 만든 것이다. 이 시스템의 총괄 감독은 금융감독위원회가 맡았으며, 부실채권의 매입과 회수 등 실행 업무는 캠코의 몫이었다. 캠코는 부실기업 처리과정에서 나오는 부실채권을 매입해 시장을 일단 안정시키고, 나중에 해당 기업이 정상화되면 다시 매각하는 방식으로 부실채권을 처리했다. 캠코가 97년 11월부터 금융권 등으로부터 매입한 부실채권 규모는 무려 110조9천억원에 이른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74조원이 정리됐으며, 나머지는 캠코가 현재 보유중이다.
캠코는 막대한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조직이지만, 정작 내부통제시스템은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 내부엔 20명 정도로 구성된 검사부가 부실채권 처리가 정상적으로 됐는지 등을 감사하고 있는데, 거대한 규모의 부실자산 처리를 감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감독기관인 금감위도 제대로 감독을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기업구조조정 업무에 관여해 온 한 전문가는 “부실채권의 가치산정에는 주관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며 “현대차 건 말고도 부실채권 매각 과정에서 비리가 더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연 전 사장의 체포 소식에 캠코 쪽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연 전 사장은 민원을 들어주지 않아 적을 많이 만들 정도로 청렴한 분이었던 만큼 충격이 크다”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기업구조조정 업무에 관여해 온 한 전문가는 “부실채권의 가치산정에는 주관이 개입할 수밖에 없다”며 “현대차 건 말고도 부실채권 매각 과정에서 비리가 더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연 전 사장의 체포 소식에 캠코 쪽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연 전 사장은 민원을 들어주지 않아 적을 많이 만들 정도로 청렴한 분이었던 만큼 충격이 크다”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