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 주최로 25일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에프티에이 반대 궐기대회 참가자들이 성조기가 펄럭이는 세종로 주한미국대사관 앞 도로에서 마무리 집회를 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체결 반대 대규모 집회 타결 초읽기 28일 촛불시위
시위 금지 통고한 경찰 물리적 제지는 안해
시위 금지 통고한 경찰 물리적 제지는 안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통상장관급 협상을 하루 앞둔 25일 오후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협정 체결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애초 경찰은 이날 집회에 대해 금지 통고를 했지만, 집회가 열리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지는 않았다.
“타결 강행하면 정권타도 투쟁”=민주노동당과 ‘한-미 자유무역협정 저지 범국민운동본부’(범국본)는 이날 오후 2시30분께부터 7500여명(경찰 추산. 주최쪽 추산 1만5천명)이 참가한 가운데 ‘한-미 자유무역협정 저지 범국민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민주노동당은 이날 집회에서 “민중 투쟁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오는 30일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타결한다면 노무현 대통령 타도 투쟁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18일째 단식농성 중인 문성현 민주노동당 대표는 대회사에서 “노 대통령은 독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독재자의 말로가 어떤 것인지는 우리 역사가 증명하므로 우리는 이 싸움에서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범국본은 이날 집회에서 광우병 소를 상징하는 조형물을 불태웠다. 범국본은 결의문에서 “망국적 협상 타결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협상 타결을 막기 위해 많은 국민이 28일 대규모 촛불집회에 참석할 것을 호소했다.
이후 시위대는 서대문, 종로, 을지로, 태평로 등지에서 거리행진을 벌였고, 오후 5시30분부터 7시30분까지 세종로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왕복 14차로를 모두 점거한 채 마무리 집회를 열었다.
경찰, 상경 차단 등 안해=경찰은 시위대와 큰 마찰을 일으키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이후 범국본이 경찰의 제지 없이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집회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미국대사관 앞길에서 마무리 집회가 열린 것도 드문 일이다. 경찰은 예전 범국본 집회 때와 달리 시청 앞 광장을 경찰 버스로 에워싸거나, 집회에 참석하려는 시위대를 막지 않았다. 지방에서 올라오는 시위대에 대한 ‘상경 차단’도 하지 않았다. 집회 장소 주변에는 교통경찰만 배치했고, 시위 진압 전·의경은 배치하지 않았다. 거리행진이 시작되자 경찰은 시위대와 대치하며 버스로 길을 가로막는 등의 방법으로 도로 점거와 행진 차단을 시도했으나, 커다란 충돌이 빚어지지는 않았다. 인권단체들 “불복종운동”=그러나 전국 37개 인권단체로 구성된 인권단체연석회의는 “경찰이 사실상 집회 허가제를 운영하고 있다”며 “4월 한달 동안 신고 없이 집회와 시위를 강행하는 불복종 운동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경찰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 시위와 파병반대 집회 등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집회·시위를 자의적으로 금지 통고해 헌법이 보장한 집회·시위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25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민주노동당 주최 한미FTA 반대 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 상경 차단 등 안해=경찰은 시위대와 큰 마찰을 일으키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이후 범국본이 경찰의 제지 없이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집회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미국대사관 앞길에서 마무리 집회가 열린 것도 드문 일이다. 경찰은 예전 범국본 집회 때와 달리 시청 앞 광장을 경찰 버스로 에워싸거나, 집회에 참석하려는 시위대를 막지 않았다. 지방에서 올라오는 시위대에 대한 ‘상경 차단’도 하지 않았다. 집회 장소 주변에는 교통경찰만 배치했고, 시위 진압 전·의경은 배치하지 않았다. 거리행진이 시작되자 경찰은 시위대와 대치하며 버스로 길을 가로막는 등의 방법으로 도로 점거와 행진 차단을 시도했으나, 커다란 충돌이 빚어지지는 않았다. 인권단체들 “불복종운동”=그러나 전국 37개 인권단체로 구성된 인권단체연석회의는 “경찰이 사실상 집회 허가제를 운영하고 있다”며 “4월 한달 동안 신고 없이 집회와 시위를 강행하는 불복종 운동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경찰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반대 시위와 파병반대 집회 등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집회·시위를 자의적으로 금지 통고해 헌법이 보장한 집회·시위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