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정상적 개인재산 가능성 낮다” 김씨 지난달 출국
김석원(62) 전 쌍용그룹 회장이 자택에 보관하고 있다가 검찰에 압수된 돈(<한겨레> 10월2일치 13면)이 50억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회장은 지난달 해외로 출국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관된 돈 50억원 이상”=검찰 관계자는 2일 “김 전 회장의 자택에서 발견된 돈이 50억원이 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김 전 회장 부인인 박문순 성곡미술관장이 돈의 출처에 대해 나름대로 해명을 하고 있지만 믿을 수가 없어 더 조사를 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1일과 2일 박 관장을 불러 자금 출처 등에 대해 조사했다.
하지만 서울서부지검은 <한겨레> 보도에 대해 공식 확인을 해주지 않고 있다. 한 검찰 관계자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비자금 의혹 수사 사실이 보도돼 수사팀 입장이 많이 난처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돈의 출처는?=검찰은 우선 정상적인 개인 재산일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고 있다. 특별수사 경험이 많은 한 부장검사는 “정상적인 돈이라면 은행에 입금시키지 않고 집 안에 쌓아놓을 이유가 있겠느냐”라고 말했다. 특수부 근무 경험이 많은 또다른 부장검사도 “비자금의 일부나 (김 전 회장이 경영하는) 위장 사업체의 돈 가운데 하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돈이 비자금일 경우엔, 옛 쌍용그룹 계열사 가운데 김 전 회장과 가장 깊은 인연을 맺어온 쌍용양회 쪽과 관련됐을 가능성이 있다. 김 전 회장은 그룹 해체 뒤인 2004년 3월까지 쌍용양회 경영에 관여했으며, 현재도 명예회장직을 맡고 있다. 2004년엔 쌍용양회 회삿돈 320억여원을 횡령·배임한 혐의로 구속 기소되기도 했다. 하지만 쌍용양회 관계자는 “일본 태평양시멘트가 대주주로 참여한 2001년 이후엔 비자금 조성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명예회장직도 현 경영진이 회사 창업주 예우 차원에서 배려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전 회장은 지난해 회사 쪽에 피해액을 모두 변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전 회장은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는데, 쌍용양회는 지난해 4월 김 전 회장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고 법원은 6월 218억원을 배상하라고 강제조정했다. 쌍용양회 관계자는 “김 전 회장 소유의 부동산을 매각하는 등의 방법으로 지난해 10월까지 200억원이 넘는 돈을 모두 변제받았다”고 말했다.
김 전 회장, 지난달 출국=이 돈의 출처·조성 경위를 설명해줄 김 전 회장은 지난달 유럽으로 출국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전 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한국스카우트지원재단 관계자는 “김 전 회장이 지난달 19일 프랑스 파리로 출국해 미국을 거쳐 일본으로 건너가 오는 4∼5일 열리는 월드스카우트 집행이사회에 참석할 예정”이라며 “집행이사회에는 스웨덴 왕과 일왕 등 유명인들이 참여하는 큰 행사로, (김 전 회장의 출국은) 성곡미술관 비자금 사건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김 전 회장 귀국 시점을 두고 협회 관계자들과 측근들은 “이번 주말께”와 “다음 주중께”로 엇갈린 답을 내놨다.
김 전 회장이 출국한 지난달 19일은 신정아(35)씨 구속영장이 기각된 다음날로, 김 전 회장 부인인 박 관장과 신씨의 횡령 의혹에 대한 수사가 본격화된 시점은 아니다.
이순혁 이완 기자 hyuk@hani.co.kr 전두환·노태우 비자금도…김석원씨 별난 비자금 인연 김석원(62) 전 쌍용그룹 회장 자택에서 50억원이 넘는 거액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 비자금과 인연이 깊은 김 전 회장의 이력이 눈길을 끌고 있다. 김 전 회장이 비자금과 관련해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1995∼96년 이뤄진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비자금 수사다. 전씨와 노씨가 각각 김 전 회장에게 비자금 158억원과 200억원을 보관하도록 부탁한 사실이 검찰 수사에서 드러난 것이다. 검찰은 금융실명제 실시 뒤 변칙 실명화해 김 전 회장이 보관하고 있던 전씨 비자금 잔액 61억원을 압수했는데, 이 돈이 사과상자 25개에 담긴 채 쌍용양회 경리부 창고에 쌓여 있던 것으로 드러나 세간의 화제가 됐다. 이 돈은 모두 추징됐다. 김 전 회장은 노씨 비자금으로 계열사 주식을 사둬 또다시 입길에 올랐다. 1992년 이원조 전 의원을 통해 비자금 200억원 관리를 요청받은 김 전 회장은 이를 그룹 임직원 20여명의 명의로 분산 예치해 뒀다가, 금융실명제 실시 뒤엔 이 돈으로 쌍용자동차와 쌍용양회, 쌍용제지 주식을 사들였다. 김 전 회장은 이 돈의 반환에 소극적이어서, 정부는 2001년 김 전 회장을 상대로 추징금 반환 청구소송을 내 승소했다. 이 과정에서 김 전 회장의 재산 66억여원이 압류되기도 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이순혁 이완 기자 hyuk@hani.co.kr 전두환·노태우 비자금도…김석원씨 별난 비자금 인연 김석원(62) 전 쌍용그룹 회장 자택에서 50억원이 넘는 거액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 비자금과 인연이 깊은 김 전 회장의 이력이 눈길을 끌고 있다. 김 전 회장이 비자금과 관련해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1995∼96년 이뤄진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비자금 수사다. 전씨와 노씨가 각각 김 전 회장에게 비자금 158억원과 200억원을 보관하도록 부탁한 사실이 검찰 수사에서 드러난 것이다. 검찰은 금융실명제 실시 뒤 변칙 실명화해 김 전 회장이 보관하고 있던 전씨 비자금 잔액 61억원을 압수했는데, 이 돈이 사과상자 25개에 담긴 채 쌍용양회 경리부 창고에 쌓여 있던 것으로 드러나 세간의 화제가 됐다. 이 돈은 모두 추징됐다. 김 전 회장은 노씨 비자금으로 계열사 주식을 사둬 또다시 입길에 올랐다. 1992년 이원조 전 의원을 통해 비자금 200억원 관리를 요청받은 김 전 회장은 이를 그룹 임직원 20여명의 명의로 분산 예치해 뒀다가, 금융실명제 실시 뒤엔 이 돈으로 쌍용자동차와 쌍용양회, 쌍용제지 주식을 사들였다. 김 전 회장은 이 돈의 반환에 소극적이어서, 정부는 2001년 김 전 회장을 상대로 추징금 반환 청구소송을 내 승소했다. 이 과정에서 김 전 회장의 재산 66억여원이 압류되기도 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