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길을찾아서] 불러도 세월엔 주인이 없네 / 백기완

등록 2008-10-07 18:49수정 2008-10-08 18:12

삽화 민정기 화백
삽화 민정기 화백
백기완-나의 한살매 3
슬픈 조막손, 언니의 유행가

내가 태어나고 나서 맨 처음 배운 노래는 가곡? 아니다. 육자배기? 아니다. 창피 따위는 아랑곳도 않고 털어놓는다. 유행가였다. 그것도 구슬픈 유행가.

말을 하자면 아득한 날로 돌아간다. 초등학교엘 들어가고 나서 서너 달 동안 우리들은 일본 노래를 여럿 배웠다. 일본 군가도 여럿 배운 터라, 선생님이 한 사람씩 나와 좋아하는 것을 뽑아 보란다.

한참 만에 내 먼개(차례)가 와 나도 가슴을 펴고 씩씩하게 나갔다. 그런데 군가가 아니라 유행가를 부르자 선생님이 눈깔을 모로 박더니 종아리를 친다. 너는 반장이다, 반장이 그따위 탈(병)든 노래를 하면 되냐.

얼마 뒤 다른 반과 함께 노래 부르기를 할 때도 그 유행가를 불렀더니 교무실로 끌고 간다. 너는 반장인 꼴새에 다른 건 모두 으뜸인데 일본말만은 왜 꼴찌를 하며, 노래도 군가는 안 부르고 유행가를 불러? 어디서 배웠어, 유성기? 없다고 하자, 라디오? 그것도 없다고 하자 대란다. 누구한테 배웠느냐고.

서슴없이 언니(형)라고 하자 그 언니 데려오란다. 나쁜 놈이라는 것이다. 나쁜 언니라니, 그 언니는 나보다는 열댓 살 위, 착한 조막손이었다. 그 언니의 아버지는 내 큰아버지, 삼일만세 싸움 때 태극기 세 멱쟁이(가마니보다 큼)를 만들어 만세를 불렀다고 세 해 동안 때(감옥)를 살게 되었다.

우리 할아버지는 경찰한테 매를 맞아 피를 반 동이나 쏟고 돌아가시고, 그래도 큰아버지는 또다시 마르크스주의 독립운동을 하시다가 때살이(감옥살이) 아홉 해, 모두 열두 해. 그 도막에 큰어머니는 너무나 어려워 어딘가로 가고 말았다. 이에 어린 그 언니가 엄마 아빠를 울부짖다가 모닥불에 엎으라져 손가락 열이 모두 타버린 것이다.

그분은 그 손으로 소설을 쓰고자 했다. 하지만 소설을 쓸 아무 턱이 없어 늘 혼자서 흥얼거렸다. 그것도 모르고 내가 “언니, 우리도 밤 좀 따라 가자, 우리도 냇가로 멱 좀 감으러 가자”고 칭얼대도 늘 흥얼거리기만 했다. 그러다가 내가 나가면 그 흥얼거림이 노래가 되는 것을 나는 귀담곤 했다.

어느 날이다. 우리 집에 경찰이 들이닥쳤다. 길닦기에 안 나온다고 우리 어머니를 잡으러 온 것이다. 가자, 못 간다 한바탕 벅적이 이는데 느닷없이 커단 노랫소리가 들려왔다.

‘산홍아 너만 가고/ 나만 혼자 버리기냐/ 너 없는 이 세상은/ 눈 오는 벌판이다/ 달 없는 사막이다/ 불 꺼진 항구다’라는 노래가 우렁차게 들려왔다.

놀랜 경찰이 “누구야, 썩어빠진 유행가를 부르는 놈이, 나와” 그러다가 “어, 이 새끼 이거 손가락도 없는 병신 새끼가 재수 없게 유행가를 불러 …” 발길로 차고 짓이긴다. “아이쿠 우리 언니 이제 죽었구나” 그러는데 느닷없이 뻑 소리가 나더니 쿵, 경찰이 벌렁 나자빠지는 것이었다. 이를 놓칠세라 우리 어머니는 부지깽이로, 나는 팽이채로 갈겼지만 끝내 언니는 잡혀가고 썰렁해진 집, 무달(침묵까지 삼킨 고요) 한 밤, 느닷없이 멀리서 흐득이는 소리가 들려왔다.

‘너 없는 이 세상은 달 없는 사막’ 어쩌고 하는 언니의 노래, 거기서 내가 그 노래를 아주 익힌 것이다.

백기완
백기완
얼마 있다가 8·15가 왔다. 언니가 사라졌다. 어디를 가셨을까. 아닌 밤 귀를 기울이는데 딱딱딱, 땅이 깨지는 구두소리가 난다.

“엄마이, 저거 경찰 아니가.”

“아니다, 놈들은 죄 쫓아냈는데 아마도 네 언니일 거다.”

아니나 다를까. 커단 소리로 “엄마이 저 왔어요” 그러더니 윗목에서 ‘산홍아 너만 가고’ 하는 콧노래가 들려온다.

그 뒤 나는 서울로 오고 전쟁이 터졌다. 비행기 폭격으로 불난 집에서 “사람 살리라”는 소리가 들려왔다. 도울 젊은인 하나도 없었다. 이때 조막손이 언니가 나가 팔뚝으로 사람들을 끄집어내는데 또다시 폭탄이 왕창, 불길에 파묻히면서도 언니는 그 손가락 없는 주먹으로 하늘을 쥐어지르고 또 쥐어질렀단다. “네 이놈들!”

하지만 나는 다르게 생각한다. 그 언니는 쥐어지르는 주먹 속에 노래도 실었을 거라고. 그렇다, 역사는 슬픈 노래의 흘떼(강물) 그 어기참이 아닐까 중얼거려 본다. 통일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