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길을찾아서] 쌈쟁이 길 불밝힌 함석헌 선생 / 백기완

등록 2008-11-02 19:09

삽화 민정기 화백
삽화 민정기 화백
백기완-나의 한살매 21
싸움이 막바지에 들 무렵, 나는 딱 한마디가 그렇게도 그리웠다. “야 이놈아, 그리 가질 말고 이리로 가거라”는 한마디. 아니 “네가 할 일은 바로 이거다”라고 딱 부러지게 이르는 한소리는 어디 없을까.

사람도 만나고 글묵(책)도 뒤지고 거의 미친 듯 헤맬 때다. 누가 함석헌 선생의 말씀을 들으러 가잔다. 나는 그때만 해도 함 선생이 어떤 분이신지를 몰랐다.

종로 뒷골목 어디쯤 한 댓이 앉아 있었다. 첫눈에도 찬서리를 맞고서야 얼굴을 펴는 들국화처럼 맑고 빼어난 분이 묻는 것이었다.

“얼추(혹) 토머스 하디의 <테스>라는 소설을 읽어본 분이 있소? 있으면 일어나 그 느낌을 말해 보실라오. 내가 보기엔 오늘의 젊은이들이 꼭 한술 읽어야 할 거라고 생각돼서 그러는 겁니다.”

다른 사람들이 어물어물 하기에 내가 일어나 “사랑한다는 것은 꽃밭으로 들어가는 게 아니다. 가시밭과 수렁을 헤쳐 마침내 제 가슴의 꽃밭을 일구는 눈물이다. 그런 이야기였다고 여겨지는데요.”

이를 듣고 있던 함 선생이 풀이까지 해주신다. “첫눈에 반한 사랑이라고 하드래도 그것이 곧 사랑의 매듭이 아니라 막 틔워야 할 씨앗이라는 그 이야기는 오늘 이 땅의 어지러움을 갈라칠 길잡이가 될 거다” 그러신다.

바로 여기서였다. 조금만 삐끗해도 입에 거품을 물곤 하던 나는 “선생님, 오늘 이 땅의 이 어지러움, 그 잿빛을 갈라치려고 하면 <테스>가 아니라 바로 이 땅의 피눈물을 알아야 하질 않겠습니까?” 하고 대거리를 했다.

“선생님, 미군 부대라면 오죽 으스스합니까. 그런데 그 으스스한 부대 철조망을 붙들고 ‘이 개새끼들 나오라’고 울부짖는 열댓 살쯤 된 여중생이 있었습니다. 왜 그러는지 그 까닭을 알아보아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미군들은 무턱대고 그 어린 것의 머리를 박박, 눈구덩이에 내던졌는데도 또 와서 ‘개새끼들 나오라’고 울부짖자, 이참엔 그 여학생의 젖가슴을 찢어 내팽개치는 것이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그 어린 것을 미군 여럿이 짓밟은 것입니다. 이에 뿔따구가 머리끝까지 차 그러는데 미군은 엉뚱하게도 갸를 빨갱이라고 우리 헌병대에 넘겼고 헌병은 다시 경찰, 경찰은 다시 부대 둘레의 양아치들한테 짓밟게 했습니다. 끔찍했지요.

그러나 그 끔찍한 일을 놓고도 신문, 정치꾼, 변호사, 선생, 그 많은 깡패들도 입을 다물고 있는데 한 핼쑥한 사내애가 미군부대에다 맞짱을 걸었습니다.

‘너네 부대에서 가장 센 놈은 나와라, 나하고 맞짱을 뜨되 내가 지면 날 죽여도 좋다. 하지만 내가 이기면 저 어린 여학생한테 무릎을 꿇고 잘못했다고 빌어야 한다’는 것을 매기고 붙었는데 택이나 있었겠어요.

그 애는 한방에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다시 들어오는 코끼리를 들이받아 눕혀버리고선 외쳐댔습니다. ‘마침내 한국 애가 썩어문드러진 양키를 꺾었구나.’

선생님, 그 어린 여학생의 몸과 마음은 끔찍하게 짓밟혔지만 끝내 그 못된 것들을 이긴 건 누구였겠어요. 그 어린 것의 맑은 눈물이 아니었겠습니까. 이참 우리 바투(현실)는 그 눈물의 한강물입니다. 선생님께서 <테스>를 읽자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이 땅의 글쟁이들한테 그 어린 여학생의 피눈물을 한술 그려보라고 하면 안 되겠습니까.”

그러자, 모두 목이 메는 것이었다.

백기완
백기완
1981년 여름, 강원도 양양 바닷가에서 군인 양아치들한테 맞은 헌디(생채기)를 달래고 있다가 돈이 떨어져 보따리를 싸려고 했었다. 그런데 모래밭 너머 멀리서 하얀 두루마기가 가물가물 ‘야 함 선생 같으네’ 그러는데 참말로 함 선생이 돈 16만원을 놓고 가신다.

나는 냄(배웅)을 내면서 “선생님, 옛날 저희들한테 <테스>를 읽어보라고 하신 적이 있었지요. 그때 아무렴 <테스>도 읽어야지만 오늘의 우리 바투를 읽어야 한다고 울부짖던 그 젊은이가 바로 오늘의 이 백기완이었습니다. 선생님.”

“그래, 그때 그 이야긴 아직 글로 꾸미진 못했지? 요즈음 읽혀야 할 터인데 ….”

나는 송곳이라고 받아들였다. ‘옛날 그 여학생처럼 너도 짓밟혔으면 나가 싸워야지, 뭐, 잔돈푼이나 걱정해.’ 그러는 것 같아 그날 밤 외로운 바닷가에서 ‘오냐 가주마/ 노를 잃고 삿대는 부러져/ 남은 것이라곤 뒤틀리는 네 다리에/ 마음의 등불뿐일지라도/ 스스로 묶은 사슬은 이미 끊어졌노라 ….’

‘태풍’이라는 찰(시)을 써 “선생님, 오래 사시라”고 바쳤었는데 못난 것, 빈소에도 못 가보았구나. 통일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