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길을찾아서] 학림다방 앉아 ‘한잔의 추억’ / 백기완

등록 2008-11-06 19:12

백기완-나의 한살매 25
나는 요즈음도 이따금 대학로 ‘학림다방’엘 간다. 거기서 딴 자리는 안 앉는다. 쉰다섯 해 앞서부터 앉던 바로 그 자리에만 앉아 밖을 내다보면 ‘이 강산 봄소식을 편지로 쓰자’는 노랫소리가 절로 들려오는 듯, 나는 뉘우침에 소스라치곤 한다.

‘그 새낀 그거 내가 죽였어, 내가.’ 때속(감옥)에서 다 죽게 되었을 적이다. 나와 끈매(인연)를 맺었던 동무들 얼굴이 별똥처럼 스쳐 갔다.

6·25가 터지던 날이다. “기완아, 나 오늘은 밀린 품삯을 받아낼 거그든. 그리 되면 네 중학교 입학금은 내가 낼 테니까” 그러면서 신발 끈을 매고 가던, 쇠 깎는 애 복동이는 낙동강 싸움터에서 죽고 말았다. ‘아, 쪼매난 무덤이라도 하나 만들어 주었어야 하는 건데 아무것도 못하고 나도 죽는구나.’

또 관악산 승방 뜰 구장네 머슴 구럭이도 “내 어떤 일이 있어도 네 새끼에게 돼지기름데이 한술 실컷 먹여 주겠다”고 하더니, 앞장서 싸우러 갔다가 먼저 가고 기어이 나도 가는구나.

또 있다. ‘이’ 때문에 나하고 늘 알각대던 살구라는 녀석은 군대에 끌려가면서 “엄마, 기완이가 살아오거든 내 글묵(책) 그거 세나 있잖아, 그것을 모두 갸한테 줘. 비에 젖어 엉망이긴 하지만 갸가 그렇게도 갖고 싶어 했거든.” 그러면서 싸움터엘 나갔는데 돌아오지 않았다.

나는 그 글묵 <고향>, <임꺽정> 한묵(한권), <청춘극장>을 갸하고 뛰어놀던 남산 삐알(자락)에 무덤처럼 묻어주며 “살구야, 살구야” 불렀었지.

그런데 달록이란 애는 꼭 내가 죽인 것 같아, 나는 그렇게도 괴로울 수가 없었다. 달록이는 부산에서 부두 일을 할 때 사귄 동무였다. 얼굴은 꼭 가시나처럼 예쁘고 눈이 맑고 글파(공부)가 으뜸이었지만, 굿(연극)을 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그의 홀어머니는 늘 “얘야, 다른 집 애들은 가름네(재판장)가 돼 돈을 잘 번다더라, 너도 그리 되거라” 해서 괴로워하곤 했다. 그러던 애가 서울로 온 뒤 거의 한 해쯤 보이질 않아 ‘옳거니, 녀석은 그 가름네 글파를 하나 보다’ 그랬는데 느닷없이 나타났다. “야 이게 누구야?” 우리는 먼저 쐬주 몇 모금부터 걸치고 대학로 ‘학림다방’엘 올라 커단 소리로 모뽀리(합창)를 했다. ‘이 강산 봄소식을 편지로 쓰자’ 딱 그 말귀밖에 몰라 부르고 또 부르는데, 달록이가 갑자기 찻집 마룻바닥에 누런 가래침을 게운다. 그러자 아주머니가 “여기는 노래를 하는 데도 아니고, 가래를 게우는 데도 아니니 나가 다오” 한다. 더구나 둘레에 있던 학생들이 “뭐야 저 새끼들, 에이 밥맛 떨어져” 그러면서 나간다. 나는 냅다 불러 세웠다.

“야 이 새끼야, 이참 뭐라고 그랬어? 뭣 땜에 밥맛 떨어진다는 거야!” 우당탕 벅적이 나는데도, 달록이는 거의 숨이 넘어가는 듯 누런 가래를 쏟아놓는다.

“너 왜 그래?” “아니야, 아무것도 아니야.” 그러면서 떠나간 지 여섯 달쯤 지나서였다. 다시금 달록이가 나타났다. 그런데 얼굴은 누렇게 떴고 가래침도 엔간히 뱉는 게 아니다. “야, 너 왜 그래?” “괜찮아, 나 무엇 좀 먹고 싶은데 ….” “좋아” 하고 안주 없는 몇 모금을 들이켜는데 주머니에서 뭔가 떨어진다. ‘기다리지 말아다오, 이참은 갈마(역사) 그 나아감하고 사랑할 때요.’ 또 있었다. ‘우리 꼭 만나야만 되겠니? 서로 뜨겁게 사는 거, 그게 만나는 거 아니겠니, 내 사랑하는 사람아.’

백기완
백기완
나는 놀라 “너 이참 어디서 뭘 하는 거가?” “나? 사람 사는 데서 참굿(실극)을 하고 있지.”

“그게 어딘데?” “내 가래침에 써 있을 걸. 그러나저러나 한모금만 더 했으면.”

그러구선 강원도 어느 탄광 막장에서 진폐증으로 죽고 말았다.

그래서 때속 골방에서 다 죽어 가면서도 나는 울부짖었던 것이다. ‘그 새낀, 그거 내가 죽였다. 바로 옆이 서울대학병원, 그 들락(문)을 부시고서라도 그 녀석을 들이밀었어야 하는 건데. 기완아! 이 새끼야, 이 쩨쩨한 새끼야’ 그러면서 죽어 가던 때가 엊그제인데 ….

나는 다시 ‘학림다방’ 옛날 바로 그 자리에 앉아 물끄러미 밖을 내다보고 있다. 그날에 쓰러진 달록이가 떠오른다. 그를 거울처럼 오늘의 대학로 젊은이들을 비춰 본다.

봄도 없이 가랑잎부터 구르는 이 가을, 어디로 가고 있을까? 매인네(소시민)의 늪으로 빠져 개죽(피지 못한 닢)이 되는 건 아닐까 …. 문득 함께 노래를 부르고 싶구나. ‘이 강산 봄소식을 편지로 쓰자’는 노래. 통일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