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길을찾아서] 유신 깬다면 죽어 풀잎도 좋아라 / 백기완

등록 2008-12-03 18:49수정 2019-07-11 19:12

1973년 12월 24일 장준하 선생이 서울 종로 기독교청년회(YMCA) 회관에서 ‘개헌청원 백만인서명꺼리’ 선언문을 기습 발표하고 있다. 함석헌·김수환·홍남순·천관우·계훈제·김순경·김윤수·김지하, 그리고 필자 등 30명이 발기인으로 나선 이 운동은 본격적인 반유신 싸움의 시작이었다.
1973년 12월 24일 장준하 선생이 서울 종로 기독교청년회(YMCA) 회관에서 ‘개헌청원 백만인서명꺼리’ 선언문을 기습 발표하고 있다. 함석헌·김수환·홍남순·천관우·계훈제·김순경·김윤수·김지하, 그리고 필자 등 30명이 발기인으로 나선 이 운동은 본격적인 반유신 싸움의 시작이었다.
백기완-나의 한살매 44
유신막틀(독재)이라는 게 나온 날부터 어쩐 일인지 내 얼굴엔 무슨 새뜸(소식) 같은 밝빛이 서렸다. 보는 이마다 좋은 일이 있느냐, 아니면 주머니가 두둑한가 보지, 왜 그렇게 훤해? 그랬다. 하지만 나는 왜냐는 내 빛은 아니 비췄다. 속으로만 맞대(대답)를 했다.

유신막틀, 그것은 박정희의 마주재비(상여)다. 내 눈엔 그것이 보인다는 것이요, 그 때문에 마주재비하고 싸움은 딱 한 바탕만 붙어도 이긴다는 제밑(자신)을 뜻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마지막 싸움엔 반드시 피를 보아야 한다. 때문에 딴 델 쳐선 안 된다. 박정희의 헷술(약점)을 들이쳐야 한다. 무엇으로 치느냐, 반드시 목숨으로 쳐야만 하는데 쳐야 할 그 헷술이라면 무엇일까. 한 나라의 대들할(헌법)을 마개로 쓰고 있어 으스스한 것 같애도 그것은 검뿔빼꼴(제국주의)하고 싸워온 두백 해(이백 년)의 갈마(역사)를 거스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4달 불쌈’(4월 혁명)이 보여준 랭이서기(민중승리) 그 빛나는 제밑(자신)과도 맞서 있다. 더구나 유신막틀은 사람맴(민심)을 잃고 있는 것이 그 헷술이라, 그것을 치고 들어가야 한다.

그 조리(방법)는 무엇일까. ‘유신 대들할(헌법) 없애기’ 큰모임(조직)을 짤까? 아니다, 그것은 입때껏 해 온 조리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랭이 하나하나가 알기(주체)가 되는 조리여야 한다. 그건 또 무엇일까. ‘개헌청원 백만인서명꺼리(운동)’ 그래 갖고 먼저 굴낯(대표) 서른 사람을 묶고, 그네들이 모두 알기가 되어 랭이들의 새김(서명)을 받기로 한다는 짠틀(계획)을 꾸리자.

나는 장준하 선생한테 수락덤엘 가자고 했다. 그것이 1973해, 9월쯤, 내 나이 마흔한살 때였다. 아무도 없는 덤(산) 속에서 우리는 한마디로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언제부터 서른 사람을 모을 것인가. 12월로 들어서면서부터 장 선생이 움직였다. 뜻말(취지문)을 신발 깔창 밑에 감추고 찾아가서 되도록 속으로 읽어보라고 내밀 것이요, 고개를 끄떡하면 새김을 받는데 맨 처음은 함석헌, 그 다음은 김수환·홍남순·천관우·계훈제·김순경·김윤수·김지하, 내가 꼬래비로 서른을 모았다.

언제 내댈(발표)것인가. 12월24일 아침 아홉 때결이 좋겠다. 어디서 할까. ‘기독교청년회관’(YMCA) 두걸(이층)을 밀고 들어가기로 하고 밀게(등사판) 따위를 살 돈을 마련코저 장 선생과 나는 양일동 선생을 찾았다. “돈 좀 주소.” “무엇에 쓸 거냐.” 누구한테 돈을 빌렸는데 오늘 꼭 갚아야 할 날이라고 둘러대자 시계를 빼주려고 한다. “아뇨, 됐습니다.” 하고선 종로의 진명출판사엘 가서 돈 몇 푼을 얻어 밀게도 사고 종이도 산 다음 장 선생 집으로 갔다. ‘개헌청원불기’는 허술이가 발락종이에 베끼고 김희로와 장호권이 밀게에 밀고 김윤수와 나는 거들고.

새벽에 한축(일단) 흩어졌다가 딱 여덟 때결에 ‘기독교청년회관’ 들락(문)을 대뜸 차고 들어갔다. 안맴(미안)하지만 어쩌랴. 그날이 바로 기독교의 갸운날(명절)이라 막는 이가 없었다. 그 자리엔 함석헌·계훈제·천관우·김동길이 오고 놀래 달려온 기자들 앞에서 장 선생이 불기(선언문)를 읽어내려 갔다. 기자 하나가 물었다.

백기완
백기완
“백만 사람한테 새김을 받는다니, 어떻게 하는 것이냐?” 장 선생이 말했다. “우리 서른 사람이 모두 알기(본부)요, 그러니까 누구든 흰 종이에 이름과 새김을 써 서른 알기 누구에게나 갖다 주면 됩니다. 다만 나 장준하가 그 서른 알기들이 모은 것을 모두는 일을 할 겁니다.”

“그럼 장 선생이 곧은알기(총본부)란 말입니까?” “아무렇게나 생각하시오.”

끝을 맺고 내려오는데 청년회관 분들은 손뼉을 치고, 놀랜 기자들은 따라오며 찍개(사진기)를 들이대고, 그때서야 맨 사람을 잡아다 패기로 이름난 중앙정보부 사람들이 들이닥치는 것을 재빨리 비켜 장준하·함석헌·계훈제, 그리고 나는 천안으로 달렸다. 거기서 김순경 박사가 사 주는 밥을 먹고 서울로 올라오다가 저녁 새뜸(신문)에 우리 이야기가 난 것을 보고 나는 입을 열었다.

“이제 유신막틀은 낼판(결정적)으로 금이 갔습니다. 마치 무달(침묵)까지 삼키던 썩은 웅덩이가 쪼매난 돌멩이 하나에 깨지드키 말입니다. 하지만 내 목숨은 가만두질 않을 겁니다, 죽일 겁니다. 난 죽어서도 날래(해방)된 땅 위에 쪼매난 풀닢으로 돋아날 것이오니 여러분! 걱정 같은 것은 마시길 ….”

“어허, 백기완이 뚱속(욕심)이 많군, 함께 가야지” 하고 천안이 떠나가게 웃었다. 통일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