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금용사기 대책 발표
다음달부터는 외국에서 걸려오는 국제전화에는 통신사별로 식별번호가 달리게 돼, 외국을 이용한 ‘보이스 피싱’(전화 금융사기)을 식별하기 쉬워진다.
경찰청은 5월부터 외국에서 걸려온 국제전화 앞에는 통신사마다 정해진 식별번호를 붙이는 것을 뼈대로 한 ‘전화 금융사기 종합대책’을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대책에 따라 앞으로 국제전화가 걸려오면 전화기 액정화면에 통신사별로 정해진 식별번호가 붙고, 그 뒤에 전화를 걸어온 쪽의 외국 전화번호가 이어진다. 식별번호는 통신사별로 케이티(001), 에스케이브로드밴드(005), 엘지데이콤(002), 온세텔레콤(008), 에스케이텔링크(006) 등으로 정해졌다. 11월부터는 휴대전화 액정화면에 ‘국제전화입니다’라는 안내 문자가 뜬 뒤 발신자 표시가 붙는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 피싱은 대부분 중국의 콜센터를 통해 걸려오는 국제전화”라며 “앞으로 식별번호가 붙어 있는데도 경찰, 우체국, 금융기관 등을 사칭하는 전화가 온다면 100% 보이스 피싱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경찰은 또 전화 사기범들이 위조여권으로 개설한 ‘대포 통장’으로 돈을 송금받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 외국인이 은행 계좌를 만들 때는 반드시 여권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도록 했다. 전화 금융사기는 2006년 6월부터 기승을 부리기 시작해 지난 3월 현재 경찰에 접수된 피해액만 1621억원(1만6030건)에 이른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