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의 목소리 참여연대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과 서울지역대학생연합 소속 대학생들, 민주·민주노동·창조한국·진보신당 등 야4당 관계자들이 8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장 개방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6·10 범국민문화제의 서울광장 개최 허용을 요구하는 한편, 서울광장의 사용 목적을 제한한 서울시 조례 개정운동에 들어간다고 선언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경찰 “6·10 범국민대회 불허”
주최쪽 “예정대로 광장서 행사”
주최쪽 “예정대로 광장서 행사”
[영상]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허하라
[%%TAGSTORY1%%] 시민·사회·노동단체와 야4당, 4대 종단 등이 6월항쟁 22돌 기념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를 위해 10일 서울광장에서 열려던 ‘6월항쟁 계승 및 민주회복 범국민문화제’(범국민대회)가 경찰과 서울시에 의해 불허됐다. 그러나 범국민문화제 준비위원회(준비위)는 “서울광장에서 평화로운 문화제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혀, 경찰이 서울광장을 봉쇄할 경우 물리적 충돌도 예상된다. 경찰은 범국민문화제를 열기 위해 민주·민주노동당 등이 서울광장·청계광장 등 서울 도심 6곳에 신청한 집회를 모두 금지했다고 8일 밝혔다. 서울시도 이날 “범국민대회는 문화행사만 열게 돼 있는 서울광장 조성 목적에 맞지 않는다”며 민주당의 광장 사용 신청을 불허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다른 단체에서 먼저 집회신고서를 접수시켜 범국민문화제를 금지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서울광장은 지난 2일 자유총연맹이 ‘승용차 자율요일제 참여 캠페인’을 신고해 선점했고, 청계광장은 ‘월드피스 건립위원회’가 지난 1일 ‘6·25 기념사진 행사’를 먼저 신고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이날 민주당 등이 신고한 집회 7건 가운데 도심의 6건은 모두 금지했고, 민주당이 서울 여의도에서 열겠다고 신청한 집회 1건만 허용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이날 서울광장 사용을 위해 방문한 최규식 민주당 서울시당 위원장 등에게 ‘사용 불허’ 방침을 통보했다. 최 위원장은 “오 시장이 ‘서울광장 조례에 따라 광장 사용 허가는 시민들의 문화와 여가선용을 위한 행사만 가능하다’라는 기계적인 답변으로 광장 사용을 불허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경찰에 광장에 대한 시설보호 요청은 하지 않기로 했다. 준비위는 오 시장 면담 뒤 내놓은 ‘광장 사용 불허 통보에 대한 입장’이라는 자료에서 “우리는 그동안의 전례에 비춰 ‘광장에 대한 시설보호 요청을 하지 않겠다’는 오 시장의 약속을 광장 사용을 사실상 묵인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경찰이 차벽으로 막지만 않는다면 서울광장에서 평화롭게 행사를 진행해 마무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준비위는 경찰의 집회 금지와 관련해 9일 국가인권위원회에 ‘긴급구제’를 요청하는 진정을 내기로 했다. 경찰은 경찰버스로 광장을 봉쇄할 것인지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민주·민주노동·창조한국·진보신당 등 야4당과 참여연대, 서울지역 14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 오후 서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장을 시민의 품으로 되돌려받기 위한 조례 개정작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박래학 서울시 의원(민주당)은 “서울에서 조례 개정안을 발의하려면 의원 10명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야4당 의원을 합쳐도 6명에 불과하다”며 “결국 남은 길은 서울 시민 8만명(유권자의 1%)의 서명을 받아 주민 발의로 조례 개정에 나서는 길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오 시장은 이날 자신의 블로그에 ‘서울광장’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집단적 의사 표현의 장소로 서울광장만은 가급적 피해 주기를 부탁한다”며 “서울광장에서 폭력적으로 표출되는 의견들은 우리의 국가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길윤형 이경미 기자 charisma@hani.co.kr
[%%TAGSTORY1%%] 시민·사회·노동단체와 야4당, 4대 종단 등이 6월항쟁 22돌 기념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를 위해 10일 서울광장에서 열려던 ‘6월항쟁 계승 및 민주회복 범국민문화제’(범국민대회)가 경찰과 서울시에 의해 불허됐다. 그러나 범국민문화제 준비위원회(준비위)는 “서울광장에서 평화로운 문화제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혀, 경찰이 서울광장을 봉쇄할 경우 물리적 충돌도 예상된다. 경찰은 범국민문화제를 열기 위해 민주·민주노동당 등이 서울광장·청계광장 등 서울 도심 6곳에 신청한 집회를 모두 금지했다고 8일 밝혔다. 서울시도 이날 “범국민대회는 문화행사만 열게 돼 있는 서울광장 조성 목적에 맞지 않는다”며 민주당의 광장 사용 신청을 불허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다른 단체에서 먼저 집회신고서를 접수시켜 범국민문화제를 금지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서울광장은 지난 2일 자유총연맹이 ‘승용차 자율요일제 참여 캠페인’을 신고해 선점했고, 청계광장은 ‘월드피스 건립위원회’가 지난 1일 ‘6·25 기념사진 행사’를 먼저 신고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이날 민주당 등이 신고한 집회 7건 가운데 도심의 6건은 모두 금지했고, 민주당이 서울 여의도에서 열겠다고 신청한 집회 1건만 허용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이날 서울광장 사용을 위해 방문한 최규식 민주당 서울시당 위원장 등에게 ‘사용 불허’ 방침을 통보했다. 최 위원장은 “오 시장이 ‘서울광장 조례에 따라 광장 사용 허가는 시민들의 문화와 여가선용을 위한 행사만 가능하다’라는 기계적인 답변으로 광장 사용을 불허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경찰에 광장에 대한 시설보호 요청은 하지 않기로 했다. 준비위는 오 시장 면담 뒤 내놓은 ‘광장 사용 불허 통보에 대한 입장’이라는 자료에서 “우리는 그동안의 전례에 비춰 ‘광장에 대한 시설보호 요청을 하지 않겠다’는 오 시장의 약속을 광장 사용을 사실상 묵인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경찰이 차벽으로 막지만 않는다면 서울광장에서 평화롭게 행사를 진행해 마무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준비위는 경찰의 집회 금지와 관련해 9일 국가인권위원회에 ‘긴급구제’를 요청하는 진정을 내기로 했다. 경찰은 경찰버스로 광장을 봉쇄할 것인지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민주·민주노동·창조한국·진보신당 등 야4당과 참여연대, 서울지역 14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 오후 서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장을 시민의 품으로 되돌려받기 위한 조례 개정작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박래학 서울시 의원(민주당)은 “서울에서 조례 개정안을 발의하려면 의원 10명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야4당 의원을 합쳐도 6명에 불과하다”며 “결국 남은 길은 서울 시민 8만명(유권자의 1%)의 서명을 받아 주민 발의로 조례 개정에 나서는 길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오 시장은 이날 자신의 블로그에 ‘서울광장’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집단적 의사 표현의 장소로 서울광장만은 가급적 피해 주기를 부탁한다”며 “서울광장에서 폭력적으로 표출되는 의견들은 우리의 국가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길윤형 이경미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