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선 비소 위험치
국토부 평가선 검출 안돼
전문가들 “납득할 수 없어”
국토부 평가선 검출 안돼
전문가들 “납득할 수 없어”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 국토해양부의 4대강 퇴적물 오염물질 조사 결과가 완전히 상반되는 것을 전문가들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맹독성 유해물질인 비소가 금강을 제외한 한강, 낙동강, 영산강에서 미국 해양대기청(NOAA) 퇴적물 관리 기준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밝힌 데 반해, 국토부는 비소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고 주장해 왔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가 약간씩 틀릴 수는 있어도 이처럼 ‘불검출’과 ‘기준치 초과’라는 극과 극을 오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국토부의 환경영향평가와 국립환경과학원의 하천 호소 퇴적물 모니터링 시범사업은 우선 조사 시점이 2009년과 2008년으로 다르다. 또 시료 채취 지점과 시료 채취 지점의 숫자도 다르다. 4대강 전체 보 가운데 가장 많은 8개가 건설되는 낙동강의 경우 국립환경과학원은 낙동강 본류뿐 아니라 지천, 댐까지 모두 40곳을 조사했다. 그러나 댐(호소)과 지류를 제외할 경우 본류는 모두 11곳을 조사했다. 국토부는 환경영향평가에서는 낙동강 상류지역(경북 안동~경남 창녕)은 4군데, 낙동강 하류지역(경남 김해~경남 창녕)은 10군데 등 모두 14곳을 조사했다. 이런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국립환경과학원과 국토부의 조사 결과는 천지 차이다. 국립환경과학원과 국토부의 조사 지점이 일치하는 경북 한 지역의 조사 결과를 보면 이런 의심은 더욱 커진다.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와 고령군 우곡면 객기리는 각각 강을 마주 보고 낙동강 동쪽과 서쪽에 위치해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객기리에서, 국토부는 성하리에서 각각 퇴적물 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 객기리 조사에서는 비소가 10㎎/㎏(ppm)가량이 나왔지만, 성하리 퇴적물에서는 10분의 1수준인 0.1ppm이 나오는 데 그쳤다. 또 객기리 퇴적물에서는 수은, 6가크롬, 톨루엔 등의 유해화학물질도 기준치 이하가 검출됐다. 반면 성하리의 퇴적물에서는 이런 오염물질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해 수질검사를 전공한 한 교수는 “현행법상 시료채취 방식이나 분석 방법이 법으로 정해져 있어 이와같은 오차가 나오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과)는 “환경부 국립환경원 조사에서 우려수준으로 나왔던 오염물질이 1년 만에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것은 상식적으로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이는 부실 조사 정도가 아니라 환경영향평가를 왜곡한 불법의 가능성마저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은중 기자 details@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