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선거에 출마하는 예비후보 10명과 배옥병 ‘친환경 무상급식 풀뿌리국민연대’ 상임운영위원장(오른쪽 다섯째)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적선동 건강연대 사무실에서 친환경 무상급식을 위한 정책협약을 한 뒤 친환경 식품을 들어 보이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여주군 ‘친환경학교급식센터’ 가보니
쌀 생산·유통부터 정책합의·교육까지 총괄
학생 8천명 ‘냠냠’ 농민 “추가수익 올려”
지방선거 ‘무상급식’ 공약 확산따라 주목
쌀 생산·유통부터 정책합의·교육까지 총괄
학생 8천명 ‘냠냠’ 농민 “추가수익 올려”
지방선거 ‘무상급식’ 공약 확산따라 주목
“첫 농사를 지은 1995년에 쌀 80㎏을 18만원 받았는데, 14년이 지난 작년에도 17만원에 팔았으니….”
경기도 여주군에서 5만6200㎡(1만7000여평) 규모로 벼농사를 짓는 김대선(45)씨는 도통 오르지 않는 쌀값 때문에 농사를 지어도 맘이 편칠 않았다. 그러던 차에 김씨는 지난해 ‘여주군 농민영농조합법인’의 권유로 3960㎡(1200여평)의 땅을 떼어 우렁이 친환경 농사를 지었고, 여기서 수확한 친환경쌀을 일반쌀보다 약 20% 정도 비싼 값에 영농조합법인에 팔았다. 김씨가 생산한 친환경쌀은 올해 여주군 관내 초등학교 급식에 사용된다. 김씨는 “학교 급식은 계획생산이 가능하고 판매처도 확실하니 수익이 안정적”이라며 “내년부터는 친환경 농사 면적을 더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씨가 친환경 농업으로 전환해 좀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지난해 2월 여주군 농민영농조합법인에서 만든 ‘여주군 친환경학교급식센터’ 덕분이다. 이 센터는 올해 여주군 및 군내 모든 초등학교와 계약을 맺고 조합원들이 생산한 친환경쌀 118t을 공급하기로 했다. 가격은 20㎏ 기준으로 여주 일반쌀 시세 5만원보다 1만원이 많은 6만원을 받는다. 친환경쌀을 생산한 농가 29곳은 일반쌀을 생산했을 때보다 가구당 평균 184만원의 수익을 더 올렸다.
물론 이런 친환경 급식 제도의 최대 수혜자는 급식을 먹는 아이들이다. 더구나 올해부터는 경기도교육청 지원으로 도내 농촌 지역 초등학교에 무상급식이 실시돼, 여주군 관내 28개 초등학교 학생 8000여명이 센터가 공급하는 친환경쌀을 무상으로 먹을 수 있게 됐다. 일반쌀 대신 친환경쌀을 구입하는 데 들어가는 추가비용은 여주군이 지원한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친환경 무상급식’이 주요 공약으로 등장하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주목받고 있다. 이 센터가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가공·유통·소비를 총괄하고 나아가 급식정책의 합의와 교육·홍보를 맡고 있기 때문이다. 여주에서도 이 센터가 여주에서 난 친환경쌀을 여주에서 소비할 수 있도록 해 아이들에게는 건강하고 안전한 급식을 제공하고, 농가에는 안정적인 판매처와 이익 증대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최재관 여주군 친환경학교급식센터 소장은 “우리나라 초·중·고 급식의 전체 식재료비가 약 3조원인데, 이것이 모두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무상급식으로 전환된다면 상당한 규모의 공공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라며 “친환경 무상급식을 통해 계획된 가격과 생산, 판로를 통해 제값이 보장되면 이는 농민에게도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뿐 아니다. 여주 센터는 올해 초 경기도 내 학교급식에 친환경 농산물을 공급하는 여주 지역 배송업체로도 선정됐다. 또 단순한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을 넘어 경기도 교육청과 시범사업을 통해 친환경 제철 농산물을 이용한 식단 개발도 이달부터 시작했다. 교육 프로그램도 만들어 학교로 찾아가 직접 먹을거리 교육에도 나설 예정이다. 최 소장은 “센터가 단순한 유통 기능을 넘어 학부모·영양사·교육청·지자체 등이 머리를 맞대고 학교급식 정책을 고민하고 결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주/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이정우 여주군 친환경학교급식센터 급식팀장(오른쪽 둘째)이 지난 22일 경기도 여주읍 상리 여흥초등학교에 친환경 채소를 공급하면서 학교 급식 관계자들한테 채소의 품질 등을 검사받고 있다. 여주/김명진 기자
여주/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