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궁진 전 문화관광부 장관이 지난 7일 모교인 서울 종로구 계동 중앙고에서 후배 학생들에게 4·19혁명 당시 자신이 참여했던 시위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4·19 혁명 50돌] ‘4·19와 민주’의식 설문
중앙고 3학년 92.5% “4·19가 사회발전에 기여”
DJ정부·참여정부때 성장…자유·인권에 민감
중앙고 3학년 92.5% “4·19가 사회발전에 기여”
DJ정부·참여정부때 성장…자유·인권에 민감
지난 7일 오전 11시 서울 중앙고 음악실에서는 50년 전 중앙고 학생으로 4·19에 참여했던 남궁진 전 문화관광부 장관과 학생들의 대화가 시작됐다. 남 전 장관은 ‘시위할 때 경찰이 총을 쏴서 무섭지 않았느냐’는 학생들의 질문에 “그 상황이라면 누구나 무서웠겠지만 내가 이 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견뎌냈다”고 말했다. 또 그는 “당장 시위에 참여할 것인지, 아니면 미래를 위해 공부에 전념할 것인지는 자기 가치관에 따라 선택할 문제지만, 그 판단의 기준은 정의와 자유, 평등 같은 가치에 기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학생들도 고개를 끄덕거리는 게, 공감을 표시하는 듯했다. ‘4·19혁명은 잘 모르지만, 4·19정신은 체화한 세대.’ <한겨레>가 4·19혁명 50년을 맞아 당시 주요 참가 학교였던 서울 중앙고 3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한 ‘4·19와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조사’는, 민주주의적 감수성이 발달하고 정치적 의사 표현에 익숙한 최근 10대들의 특성을 확인해 준다. 4·19가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92.5%가 ‘매우 또는 어느 정도 기여했다’고 대답했다. 4·19 세대인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문학평론가)은 “지난 2008년 촛불의 주역이었던 이들이 독재에 항거해 민주주의를 지킨 4·19 정신에 공감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이 둘 사이의 유사성에 주목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4·19와 촛불집회는 모두 학생들의 자연발생적인 참여로 시작됐고, (그 때문에) 명확한 지도부가 없었다. 둘 다 요구 사항은 ‘민주주의 회복’이었다. 4·19의 구호는 ‘부정선거 반대’와 ‘민주주의 회복’이었고, 2008년 촛불집회 때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외침이었다. 주요 배경도 도심 한가운데인 세종로·태평로 등으로 같다.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정치학)는 “4·19는 이후 한국 사회를 움직인 모든 민주화 운동의 원형”이라고 말했다. 10대 후반인 고등학생들이 성장하게 된 배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는 “지금 고등학생들은 1992~94년께 태어나 2000년대 초중반 세상에 눈뜨게 됐다. 이 시기는 지금보다 상대적으로 민주적이고 자유스러웠던 지난 김대중·노무현 정부 집권기와 겹친다”고 말했다. 10대들이 자유와 인권이라는 민주주의적 감수성을 체화하면서 성장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월 <조선일보>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만 20~24살이 되는 ‘지(G)세대’들은 100년간 우리나라에서 가장 훌륭한 인물 1위로 노무현 전 대통령을 꼽았다. 10대들의 진보적 정치성향의 원인으로 △논술교육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 소통 등에 주목하는 연구도 있다.
10대 촛불세대, 50년전 민주정신과 ‘절친’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