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과 직원이 임의로 한 일”…시민단체 “관권선거 중단” 농성 돌입
경찰이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교육감 후보들에 대한 동향 감시를 지시하는 내용의 문건을 작성해 일선 경찰서에 전달한 것과 관련해, 시민·사회 단체들이 관권선거 중단을 요구하는 농성을 벌이기로 하는 등 파장이 커지고 있다.
참여연대 등 시민·사회 단체 대표자들은 23일 오전 10시30분 서울 통인동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 모여 비상 시국회의를 연 뒤, 이 문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관권선거 중단을 요구하는 농성에 들어간다. 안진걸 참여연대 민생희망팀장은 22일 “이 문건의 작성·배포 과정에 대한 철저한 경위 조사와 관련자 처벌, 공권력의 관권선거 중단 등이 이뤄질 때까지 농성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을 비롯한 시민단체들이 만든 ‘2010 서울교육감 시민선택’도 23일 낮 12시 경찰의 선거 개입에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다.
한편 경찰은 이 문서가 경찰에 의해 작성된 사실을 공식 시인했으나, 경찰청 본청 정보과의 경감급 직원이 상부의 결재 없이 임의로 벌인 일이라고 밝혀, 해명의 진위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경찰청 홍보담당관실은 “경찰 내부의 사실관계 조사 결과 문제의 문건은 본청 정보과의 경감급 직원이 자료 수집과정에서 작성한 것으로 상관의 결재 없이 일선 경찰서에 내려보낸 것으로 파악됐다”며 “정확한 진상을 파악해 이 직원에 대한 징계 등 인사조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경찰은 문제의 직원의 성명과 소속 등 개인 정보는 밝힐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안진걸 팀장은 “경감급 직원이 그런 중대한 사안을 독자적으로 시행했다는 경찰의 설명은 납득할 수 없다”며 “경찰이 사건의 실체를 축소·은폐하기 위해 경감급 직원에게 모든 책임을 씌우는 ‘꼬리 자르기’를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유정 민주당 의원은 이날 에이4(A4)용지 한 장짜리인 문제의 문건과, 문건이 작성된 경위·목적 등에 대한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김 의원실 관계자는 “자료 제출 시한을 23일로 못박았지만, 경찰이 얼마나 수긍할 만한 자료와 해명을 내놓을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