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1950년 무렵 외할아버지 손을 잡고 따라다녔던 이리 본당(왼쪽 사진·현 익산 창인동성당)의 한국전쟁 이후 전경. 당시 필자에게 신부가 되라고 권했던 이기순(오른쪽) 신부가 재임 때 건립했다. 창인동성당 제공
문정현-길 위의 신부 3
아버지 어머니는 새벽에 일어나서 해가 질 때까지 손을 쉬시는 법이 없이 농사일을 하시면서도 공소 일에 발을 벗고 나섰다. 아버지는 어머니와 함께 어렵게 장만한 집마저도 황등공소가 본당으로 승격되면 터가 더 필요할 거라면서 성당에 내놓으셨다. 아버지는 친척들한테 신앙적으로나 생활면에서 도덕적으로 귀감이 되는 사람이었다. 나는 그 고지식하고 경우가 바른 아버지의 성격을 많이 닮은 편이다. 다행히 어머니는 포용력과 친화력이 있는 분이었다. 우리 집은 아랫방 윗방 둘뿐이었는데 그마저 공소로 쓰니 늘 방마다 사람이 꽉 차 있었다. 어머니는 사람들이 모이면 무엇이든지 해서 먹일 만큼 인정이 많고 부지런했다. 그래서 동네 사람들이나 신부님들도 모두 어머니를 좋아했고 대녀도 많았다. 항상 바쁘신 두 분이었지만 우리는 아버지 어머니의 부재를 느낀 적이 없었다. 아무리 바빠도 늘 밭과 공소, 마을을 떠나신 적이 없고 잠도 반드시 집에서 주무셨다. 부모님이 가장 멀리 가신 곳은 익산 읍내였다.
부모님과 더불어 어린 시절 내게 큰 영향을 주신 분은 친할머니와 외조부모님이다. 우리 형제들은 일찍 돌아가신 할아버지 대신 할머니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랐다. 할머니는 형은 장손이라고 예뻐했고, 둘째인 내가 태어났을 때는 또 아들 손자가 생겼다고 좋아하시고, 셋째는 딸이라고 예뻐하시고, 그다음에 넷째가 또 아들이라고 좋아하시는 분이었다. 할머니는 그 손자들을 다 업어서 키우셨다. 나는 할머니의 사랑에 취해 살았다. 초등학교 2학년 때 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 부모님은 그때의 일을 두고두고 말씀하셨다. “그때 네가 할머니 관을 잡고 늘어져 우는 바람에 관 뚜껑을 닫을 수가 없어서 온 마을 사람이 다 울었어.”
할머니가 떠난 빈자리는 외할아버지가 채워주셨다. 외할아버지는 나를 무릎에 앉힌 채 <경향잡지>의 ‘순교전’과 <성서직해>를 독경하셨다. 때로는 울음 섞인 목소리로 읽기도 하셨다. 그러면 나는 외할아버지 수염을 잡아당기면서 왜 우냐고 물었다. 외할아버지 무릎에 앉아 귀동냥으로 들었던 그 순교자들의 이야기가 내 안에 깊이 새겨졌다. 외할아버지는 주일이 되면 황등에서 익산(당시 이리) 시내까지 8㎞가 되는 길을 걸어서 미사를 다녔는데 나도 늘 따라다녔다. 외할아버지는 새벽 6시에 아침식사도 안 하신 채 집을 나서서 이십리 길을 걸어 아침미사를 드린 뒤 끝나자마자 되돌아서 집으로 오셨다. 나 역시 똑같이 아침을 거르고 점심때까지 지냈지만 배가 고픈 줄 몰랐다. 그때는 미사 때 영성체를 하면 배가 안 고픈 거라고 생각했다.
10살 무렵이었다. 우리 공소가 속해 있던 익산본당(이리본당·지금의 창인동성당)의 이기순(도미니코) 신부님께 고백성사하려고 줄을 서 있었다. 그런데 내 차례가 와서 막 들어서려는데 안에서 “그만”이란 소리가 들렸다. 잠시 담배를 피우시려던 신부님은 나를 보시더니 다시 앉아 할 말이 있다는 듯 내 세례명을 부르셨다. “바르톨로메오, 이리와 봐라. 너 신부님 안 될래? 너 신학교 가라” 하셨다. 어리둥절했지만 그 말이 내 머릿속에 탁 박혔다. 집에 와서 어머니한테 말했다. “엄마, 본당 신부님이 고백성사 들으시고 나보고 신학교 가라고 하셨어.” 그러자 어머니는 대뜸 반색을 하셨다. “우리 집에 신부님이 생기면 영광이지.” 나는 그때부터 신학교에 가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시골 공소에서 자란 내게 신부님은 어마어마한 존재였다. 그때는 본당 신부가 일년에 두 번만 공소에 왔다. 그래서 신부님이 오시면 우리 집은 신자들로 꽉 찼다. 어머니는 신부님이 우리 집에 계시는 동안 끼니 때마다 밥을 해드렸는데 신부님 밥상에는 계란에 흰쌀밥, 소고기국까지 산해진미가 다 있었다. 신자들은 신부님의 몸은 거룩한 것이라고 생각해서 신부님이 먹다 만 음식을 자식들한테 나눠 먹였다. 사제란 그렇게 대단한 존재였다. 신부님이 왔다 가고 나면 나는 담요를 뒤집어쓰고 신부님이 미사 드리는 흉내를 내며 놀았다. 그때는 미사 전례를 라틴말로 했는데 그걸 중얼거리며 흉내를 냈다. 가끔 동생들을 데리고 미사놀이를 하기도 했다. 가족들이나 이웃들은 그런 내 모습을 보고 ‘장래 신부님감’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신부가 되라’는 말씀이 더 뇌리에 박혔는지 모르겠다. 어린 시절에는 신부님은 죄도 짓지 않는 하느님의 사람으로 생각했다. 그 길을 갈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내겐 자부심이었다.
구술정리/김중미 작가
문정현 신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