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밀양 송전탑 사태’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성남시가 분당 구미동 송전탑 철거 및 지중화에 따른 대규모 ‘축하 파티’를 계획해 논란(분당은 ‘송전탑 철거 잔치’)이 일고 있는 가운데, 행사 개최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성남환경운동연합(의장 백찬홍)은 23일 성명을 내어 “구미동 주민들이 34만5천 볼트의 고압 송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의 피해로부터 벗어난 것에 대해 환영한다. 하지만, 구미동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 준공을 기념하기 위한 콘서트는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어 “고압 송전탑은 전기 생산이 부족한 대도시를 위해 건설되고 있는 것이며, 성남시 또한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송전탑과 송전선로로 인해 피해를 입었던 구미동 주민들마저 밀양 송전탑의 문제를 공감하고, 이해하지 않는다면 누가 이해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구미동 축하 파티’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트위터에서는 “밀양에선 노인들이 경찰과 충돌해 다치고 있는데 이런 행사가 적절한가?” “누가 기획한 것인지 노인들에게 부끄럽지 않은가”라는 내용의 글이 오르고 있는 반면, “축하할 건 하고, 도심과 농촌의 환경이 다른 만큼 같은 밀양 송전탑 문제를 분당 송전탑과 같이 취급해서는 안 된다”라는 등의 댓글이 올라 논란을 벌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재명 성남시장은 23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성남 송전로 지중화 사업은 구미동 주민들의 10년간 숙원사업이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아픔과 갈등이 있었고 그래서 주민들을 위로하는 기념 콘서트를 열게 된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밀양의 아픔을 함께 한다. 성남 송전탑의 사례가 밀양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길 바란다”고 썼다.
한편, 24일 분당구 구미동을 가로지르는 송전탑 철거 공사(전선 지중화) 완료를 기념해 벌이는 ‘구미동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 준공 기념 콘서트’에 들어가는 비용 3000만원은 송전탑 철거 사업비에서 떼낸 것으로 확인됐다.
구미동 송전선로는 분당 새도시 건설 당시인 1993~95년 중심부인 서현동에서 구미동으로 옮겨졌으나 구미동 지역까지 택지로 개발되면서 집단민원이 발생했다. 이후 10년 동안의 진통 끝에 2005년 5월 사업비(1258억원)를 성남시(55%), 한전(45%)이 분담하기로 하면서 지중화 공사에 합의해 송전탑 9기가 지난 6월말 철거됐다.
성남/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