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해상 여객선 참사] 위기관리 총체적 부실
해경 “헬기도착때 배 60도 기울어”
중대본, 분위기 전혀 감지 못한채
“추가 구조인원 더 많아지리라 본다”
부처간 장벽탓 혼선으로 때 놓쳐
해경 “헬기도착때 배 60도 기울어”
중대본, 분위기 전혀 감지 못한채
“추가 구조인원 더 많아지리라 본다”
부처간 장벽탓 혼선으로 때 놓쳐
세월호 침몰 사고 수습을 둘러싸고 정부 부처 사이에 벌어진 혼선은 16일 밤 10시20분께야 정리됐다. 이 때문에 초기 대응에 허점이 생겼다.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했을 때부터 허물어야 한다고 강조한 정부 부처 간 장벽이 위기 상황에 오히려 두터워지며 위기 대응에 실패한 것이다.
17일 오전 해양수산부가 기자들에게 보낸 ‘인천-제주 운항 여객선 세월호 침수·전복 사고 보고(11보)’를 보면 정부는 전날 밤 10시20분께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관계 기관 장관회의를 열어 부처별 임무와 역할을 확정했다. 해수부 대변인이 정부 대변인 역할을 맡도록 해 ‘소통 창구’를 단일화하고, 해양정책실장에게 피해가족 지원을 위한 상황실장 역할을 맡겼다.
이처럼 뒤늦게 역할 분담이 정리되다 보니 초기 대응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수부가 공개한 신고 당시 녹취록을 보면, 세월호 승무원이 해상교통관제센터 쪽에 “지금 배가 많이 넘어갔습니다. 움직일 수가 없습니다”라며 당시의 급박한 상황을 전했다. 그러나 당시 안전행정부가 주도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런 분위기를 감지하지 못했다. 이경옥 중대본 차장(안전행정부 2차관)은 16일 오전 브리핑에서 “현재 공식적으로 구조된 인원은 161명이고, 그외 (민간)어선들이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인원은 추가적으로 더 많이 구조돼 있으리라 보고 있다”며 낙관론을 피력했다. 해수부가 받은 신고 내용만 제대로 파악했더라도 이런 발언이 나오긴 어려웠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 정부는 사고 발생 10시간이 훌쩍 넘은 16일 저녁 7시30분에야 선박 인양 크레인을 요청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해경은 5급 사무관 이상을 위한 내부 매뉴얼을 가지고 있는데, 선박이 좌초되면 곧바로 크레인을 요청하라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 뭔가 지휘 체계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양원 목포대 교수(전 부산항만공사 부사장)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사고 초기 안전행정부가 전면에 나서면서 해수부는 초기 활동이 미미했다. 안행부는 전반적인 큰 그림을 보며 지원에만 나섰어야 하는데 지휘 체계만 어지럽혔다”고 지적했다.
지휘 체계의 혼선은 사고 현장에서도 드러났다. 구조를 돕기 위해 사고 현장 주변으로 몰려든 민간 어선의 접근을 해양경찰이 “방해된다”며 통제한 것이다. 한 민간 어선 선장은 “(해경 등이) 난간에 매달려 있거나 밖으로 고개를 내민 승객들만 구조했을 뿐 선실 내부에 있는 사람들을 구조하려는 노력은 별로 보이지 않아 실망했다”고 말했다.
만약 사고 초기에 정부가 여객선 안에 승객이 많이 있을 것이란 점을 파악해 민간 전문인력을 적극 활용했다면 상황은 좀더 나아졌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
음성원 기자, 세종/김경무 선임기자, 목포/안관옥 기자 esw@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