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BANNER3%%]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재난의 컨트롤 타워가 아니다”라고 밝혀, 청와대가 세월호 구조의 무능 대응에 대해 쏟아지는 책임론에서 발빼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16일 세월호 사고 발생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국가안보실을 통해 사건을 보고받으며 직접 챙기고 있다고 강조했던 모습과 180도 달라졌기 때문이다.
김 실장은 23일 오전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청와대의 재난 컨트롤 타워’라는 일부 신문의 보도는 잘못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사고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했어야 할 청와대 국가안보실 산하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사고 초반 대통령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등 혼선을 빚었다는 <동아일보> 보도에 대한 반박이었다. 민 대변인은 “안보실의 역할은 통일, 안보, 정보, 국방의 컨트롤 타워다. 자연재해 같은 거 났을 때 컨트롤 타워가 아니다”라며, “국가 안보와 관련해서 봐야할 것이 많은 곳이다. 재난에 대해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비판은) 적절치 않다”고 전했다. 또“법령으로 보면 정부 안에서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이 하는 게 맞다”며 안전행정부에 총괄 책임을 떠넘겼다. 하지만 청와대는 세월호 침몰의 심각성이 확인되지 않았던 사고 초기, 사고를 직접 챙기며 충분히 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는 듯한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줬다. [%%IMAGE2%%]16일 세월호 사고에 대해 박 대통령에게 보고를 한 당사자가 바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16일 오전 9시 50분께, 김 실장으로부터 세월호의 이상 징후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청와대는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청와대는 김장수 안보실장이 위기관리센터에서 사고와 구조 현황을 파악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관련 상황을 즉시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 보고는 위기의 심각성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박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여객선의 객실과 엔진실까지도 철저히 확인해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는 자신에 찬 지시를 내렸기 때문이다. 이 때는 이미 세월호가 가라앉은 뒤다. 오히려 빠른 잠수 구조 지원을 지시해야 할 시점이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오전 11시께엔 ‘전원 구조’라는 잘못된 소식이 전해졌다. 그러나 사태는 점차 심상찮게 돌아갔다. 중대본은 전원 구조가 아니라 368명을 구조했다고 밝혔고(오후 2시), 이후 164명으로 정정(오후 4시30분)하는 등, 계속해서 혼선을 빚었다. 실종자는 점점 늘어갔다. 학생들이 배 안에 갇혀있다는 소식이 뉴스를 통해 전해졌다. 오후 5시10분께,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중대본을 찾았다. 이 때 박 대통령은 “구명조끼를 학생들이 입었다는데 그렇게 발견하기가 힘듭니까?”라고 물었다. 사고 9시간이 지난 시점까지 학생들이 배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재난의 총괄 관리를 하고, 난맥을 빚은 중대본을 지휘해야 할 청와대가 사태 파악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BODYBANNER%%] 박 대통령은 사고 이틀째인 17일 진도를 방문했고, 그 뒤로도 국가위기관리센터의 보고를 계속해 받고 있는 것으로 보도됐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