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취재진 확인요청엔 “묻지마라”
취재진 확인요청엔 “묻지마라”
세월호 실종자 구조 상황을 전달하는 ‘유일한 창구’인 범정부 사고수습대책본부가 정확한 사실 전달보다는 면피성 해명에만 공을 들인다는 비판이 현지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는 사고 이튿날인 17일 해양수산부 등 11개 정부 부처 합동으로 대책본부를 설치한 뒤 “세월호 구조 및 수색 활동 내용을 책임지고 발표하겠다”며 대언론 창구를 단일화했다. 초기 대응에 실패하며 구조자 수 등에서 혼선을 빚은 뒤 실종자 가족 등이 거세게 항의하자 나온 조처다.
그러나 대책본부는 그 뒤 하루에 한두 차례 짧은 브리핑만 할 뿐, 수색·구조 작업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점과 실종자 가족들이 제기하는 의혹 등을 확인하려는 취재진의 요청에는 협조하지 않고 있다. 대책본부의 고명석 대변인은 22일 오전 브리핑 뒤 “여기는 대변인실이지 상황실이 아니다. 여기에 확인 요청을 해서는 안 된다. 전화도 자제해 달라”고 말했다. 대언론 창구를 하나로 통합하겠다고 하고서 ‘우리한테 물어보지 말라’는 것이다.
대책본부는 민·관·군 합동구조팀이 전날 오후 3시40분 세월호 선체 4층 식당에 진입했는데도, 이 사실을 자정께에야 알렸다. 수색 성과를 기다리는 실종자 가족과 시민들의 애타는 심정은 뒷전이었다. 진도 팽목항에는 “언론에서 보도하는 (수색팀) 밤샘 작업은 거짓”이라는 종이가 나붙을 정도로 실종자 가족들의 불신도 깊어지고 있다.
그런데도 대책본부는 불리한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하루에 몇 차례씩 해명자료를 내놓고 있다. 오전에 한 차례 짧은 브리핑에 그친 21일에는 해명 자료만 4건을 내놓더니 오전과 오후 두 차례만 브리핑을 한 22일에는 무려 9건의 해명 자료를 쏟아냈다. “해양수산부 장관이 (하지 않은) 기념촬영을 했다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퍼나르면 법적 대응을 한다”는 ‘엄포성’ 자료나 “해운법 표기 오류를 바로잡는 노력을 이미 하고 있다”는 ‘면피성’ 자료가 대부분이다. 23일에도 브리핑은 오전·오후 두 차례만 하고는 해명·참고 자료는 13건을 내놓았다.
진도/박기용 박승헌 기자 xeno@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