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빙벨 효과없다”며 반대하다
실종자 가족들 요구에 투입결정
실종자 가족들 요구에 투입결정
“현장의 수심이나 조류 속도 등을 고려할 때 다이빙벨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현재의 방식이 신속성이나 효과 측면에서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판단했다.”
불과 하루 전인 23일, 세월호 범정부사고대책본부가 ‘다이빙벨’ 투입을 불허하며 밝힌 입장이다. 대책본부는 24일 민·관·군 합동구조팀에 속한 민간 업체 ‘언딘’이 다이빙벨을 들여온 사실이 알려진 뒤에도 “다이빙벨 투입 계획은 없다”고 다시 못을 박았다. 그러나 이런 결정은 이날 밤 손바닥 뒤집듯 번복됐다. 대책본부는 실종자 가족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24일 밤 다이빙벨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현장 투입을 불허했던 민간 잠수요원들도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를 거부할 때도, 요구를 받아들일 때도 분명한 원칙이나 기준이 없었다는 것을 자인한 셈이다. 기준 없음과 판단 착오는 결국 대책본부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대책본부는 “다이빙벨이 강한 조류에 흔들릴 수 있고, 심해가 아닌 얕은 물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전문가들이 “대책본부가 오해하고 있다”고 지적하자 “다이빙벨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잠수요원들이 직접 물속에 들어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다이빙벨 투입을 요구해온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6t이나 되는 다이빙벨이 조류에 쉽게 흔들려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다이빙벨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또 현재 수색 작업이 이뤄지는 수심이 30m에 달해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했다. 다이빙벨은 잠수사들이 물 밖으로 나오지 않고도 휴식을 취하며 작업하도록 하는 장비로, 한 번 잠수해 1시간 정도 작업할 수 있다.
자원봉사에 나섰다가 대책본부의 ‘문전박대’에 짐을 쌌던 민간 잠수부 13명도 수색 작업에 투입됐다. 대책본부는 24일까지만 해도 “자원봉사자들이 물속에 들어간 지 10분도 안 돼 나오는 등 수색 실적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황대영 한국수중환경협회 대표는 “그동안 민간 잠수부들의 능력을 깎아내리다가 가족들이 요청하니 이번에는 갑자기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대책본부의 체계적인 대응이 아쉽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그날 이후 [한겨레포커스]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