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해운업계 구조적 비리 수사하자
한국선급 회장·해운조합 이사장 사퇴
한국선급 회장·해운조합 이사장 사퇴
검찰이 해운업계의 구조적 비리에 칼끝을 겨누면서 대표적인 해운조직인 한국선급의 전영기 회장과 해운조합의 주성호 이사장이 줄줄이 사퇴했다.
해양수산부는 26일 선사들의 이익단체인 한국해운조합의 주성호 이사장이 사임의사를 전격 표명했다고 밝혔다. 주 이사장은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해운조합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비판이 커지자 도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해운조합은 2100개 선사를 대표하는 단체로 1962년 출범 이래 취임한 이사장 12명 중 10명이 해수부 고위관료 출신이어서 이른바 ‘해수부 마피아’ 의 본거지라는 눈총을 사기도 했다.
주 이사장도 국토해양부 2차관 출신이어서 해운조합이 정부를 상대로 회원사들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영입한 인사가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왔다.
특히 이 단체가 해수부로부터 위임받아 수행해온 화물 적재 상태 점검, 구명장비·소화설비 비치 여부 점검, 여객선 운항관리규정 이행 상태 감시 등 선박 안전운항 관리 업무가 부실하게 이뤄져온 것으로 드러나면서 비판이 커졌다.
이에 따라 검찰은 최근 해운조합이 명절 때마다 해수부와 해경의 간부들에게 금품을 살포했다는 혐의를 잡고 해운조합 서울본사와 인천지부를 압수수색하는 등 비리 수사에 착수했다.
선박의 안전검사를 대행하는 비영리단체인 한국선급(KR)의 전영기 회장도 전날 사의를 표명했다.
전 회장은 “희생자와 유가족, 국민에게 크나큰 상실감과 슬픔을 준 데 대해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임한다”고 밝혔다.
전 회장은 설립된 지 54년 된 한국선급에서 내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회장에 올랐다. 그는 지난해 3월 말 신임 회장 선거에서 주성호 전 국토해양부 2차관을 누르고 회장에 당선됐다.
검찰은 지난 24~25일 두 차례에 한국선급을 압수수색해 회계·인사서류, 선박 안전 비용 지출서류 등 80상자 분량의 자료를 확보해 분석중이다. 검찰은 또 한국선급의 전·현직 임직원 8명을 출국금지하고 2012년 신사옥 공사 때 자금을 유용했는지, 정부지원 연구비 등을 빼돌렸는지 수사중이다.
검찰은 한국선급 직원들이 해운회사 등으로부터 선박 검사와 관련해 뒷돈이나 향응을 제공받았는지도 들여다볼 방침이다.
목포/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