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전 천안함 침몰 사고때 분향소 설치 관련 공문(왼쪽) 과 장소를 실내로 적시한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공문(오른쪽).
안행부 “시도청사 실내 설치를 원칙으로 하라” 지침
4년 전 천안함 추모 때는 “시민 왕래가 잦은 곳에”
시민들의 요구에도 “아직 때가 아니다”며 늑장 설치도
4년 전 천안함 추모 때는 “시민 왕래가 잦은 곳에”
시민들의 요구에도 “아직 때가 아니다”며 늑장 설치도
‘세월호 참사’를 애도하는 시민들의 추모 움직임이 확산되는 것을 정부가 차단하려 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4년 전 천안함 사고 때는 시민 왕래가 잦은 곳에 마음대로 분향소를 설치하라고 했던 정부가 이번엔 분향소 장소를 각 시·도청 실내를 원칙으로 하라고 한 것이다.
28일 행정안전부(옛 안전행정부)가 2010년 4월22일에 16개 광역 시·도에 내려보낸 공문을 보면, 천안함 침몰 사고 희생자들을 위한 분향소 설치의 주요 가이드라인 중 설치 장소를 “시민 왕래가 잦은 곳에 설치(지방자치단체 자체 판단)”로 정했다.
반면,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 희생자를 위한 분향소 설치와 관련한 안행부의 지침 내용은 설치 장소를 “실내”로 한정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다르다. 안행부는 지난 26일 지침에서 “시·도 청사 내를 원칙으로 하되, 불가피한 경우 인근 공공기관의 실내 공간 활용도 가능하다”고 정해뒀다.
이에 대해 안행부 관계자는 “관공서의 경우 조속한 시일 내에 설치할 수 있고, 경비도 들어가지 않는다. 시민들이 관공서 위치를 잘 알고 있다는 이점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안행부는 합동분향소를 설치해달라는 시민들의 요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됐지만 “구조에 집중해야 하는 시점이라서 아직은 때가 아니다”란 말만 반복하며 분향소 설치를 미뤄왔다. 지난 23일 정홍원 국무총리가 전국에 합동 분향소를 차려 추모하도록 지시했는데도 마찬가지 반응을 보이며 계속 미뤄왔다.
그러다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27일 오후 3시부터 합동분향소를 설치하기로 계획한 이후에야 안행부는 분향소 설치 지침을 각 시도로 내려보냈다.
서울시 관계자는 “120콜센터와 SNS로 분향소를 설치해달라는 요구가 너무 많았다. 광역 자치단체 중 전남도에서 이미 분향소를 설치하고 있었고, 마냥 안행부 지침만 기다릴 수도 없는 것 같아서 안행부 지침 없이 진행했다”고 말했다.
음성원 기자 esw@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