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원에 사고 연락받은 본사
인천지사에 “180톤 줄여라”
승객탈출 대책논의는 안해
인천지사에 “180톤 줄여라”
승객탈출 대책논의는 안해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 직원들이 배가 침몰하던 시간에 승객 대피는 뒷전으로 미룬 채 사고 원인인 과적 사실을 감추려고 화물 적재량 기록을 조작한 것으로 1일 드러났다.
검경합동수사본부는 세월호가 침몰한 지난달 16일 청해진해운 제주 본사의 화물영업팀장 박아무개씨가 세월호로부터 사고 사실을 연락받은 뒤 인천지사 물류팀장 김아무개씨에게 전화를 걸어 화물 적재량을 줄이라고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씨는 세월호가 침몰해 가던 당일 오전 9시30분께 김씨에게 연락해 “상황이 심각하게 흘러가니 화물량을 점검해 보라”고 했고, 이에 김씨는 “이미 점검을 지시했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수사본부는 두 사람이 그 뒤로 다시 통화해 애초 세월호가 출발할 때 기록한 화물 적재량을 180t 축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박씨와 김씨가 과적 문제에 대해 ‘대책’을 논의한 시각은 최초 사고 신고로부터 40여분이 지난 시점이다. 세월호 선박직 승무원들이 배가 급격히 기울어 불안해하는 승객들에게 ‘선내에서 대기하라’는 안내방송을 반복하면서 자신들은 옷을 갈아입고 조타실에 모여 탈출을 준비하던 시점이기도 하다. 수사본부는 당시 승무원들이 조타실에서 청해진해운 쪽과 7차례 통화한 사실을 밝혀내고 그 내용을 조사해왔다. 지금까지 이들이 승객 탈출을 논의했다는 진술은 나오지 않았다.
수백명이 탄 배가 가라앉는 동안에도 청해진해운은 승객들의 안전은 챙기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려고 기록 조작에 나선 셈이다. 또 청해진해운이 과적 때문에 사고가 날 개연성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는 정황으로도 해석된다.
수사본부는 승무원들이 고의로 퇴선명령을 내리지 않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또 다른 정황도 확보했다. 조타실 내선 전화기를 들고 숫자 ‘0’을 누른 뒤 방송 버튼을 누르면 전체 선내 방송이 가능하다는 진술을 받아냈다는 것이다. 사고 당일 9시23분에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선내 방송이 불가능하다”고 밝힌 것이 의도적 거짓말일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수사본부는 세월호의 화물 결박 장치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사실도 확인했다. 안상돈 수사본부장은 “세월호에는 (컨테이너에 끼우는 결박 장치인) 콘 자체가 없거나, 있어도 규격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2중 안전장치인) 트위스트록, 라싱바, 턴버클은 사용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컨테이너 네 모서리에는 홈이 파여 있어 선박에 설치된 콘에 끼워 고정한다. 그 뒤 와이어를 엑스(X)자 모양으로 조이고 턴버클과 라싱바 등으로 강하게 결박해야 하는데, 이런 과정이 전혀 없었다는 뜻이다. 특히 세월호의 시(C), 디(D) 데크에는 콘이 아예 없어, 컨테이너를 2층으로 쌓고 밧줄로 둘둘 묶는 것만으로 결박을 마무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사본부는 과적 문제와 관련해 이날 김씨와 안아무개 청해진해운 이사(해무팀장)에 대해 업무상과실치사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안 이사에게는 세월호 증축 과정에서 고철 판매대금 3000여만원을 빼돌린 혐의(횡령)도 적용됐다.
목포/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김어준의 KFC #번외편] 세월호 3대 의혹!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