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정보 흘린 해경 수사 나서
유병언은 다음주 우선 소환 검토
유병언은 다음주 우선 소환 검토
검찰이 해운업계 비리 수사와 관련해 한국선급을 압수수색할 때, 해양경찰청 직원이 한국선급 쪽에 이를 미리 알려준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에 나섰다.
해운업계 전반의 구조적 비리를 수사하는 부산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흥준)은 7일 압수수색 정보를 한국선급 쪽에 흘린 의혹을 사고 있는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관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검찰은 지난달 24일과 지난 2일 두 차례에 걸쳐 한국선급 본사와 전·현 임직원들의 자택 등 17곳을 압수수색해 회계장부와 컴퓨터 파일 등을 압수했다. 검찰은 압수수색 당시 한국선급 임직원들이 압수수색 정보를 미리 알고 있었던 정황을 포착한 뒤 조사에 나서 압수수색 정보를 흘려준 사람이 해양경찰청 소속 정보담당 경찰관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또 검찰은 압수수색 과정에서 ‘상품권 70여장’이라고 적힌 메모지를 발견했다. 검찰은 한국선급이 2011년 법인카드 등으로 10만원짜리 상품권 70여장을 구입해 옛 국토해양부(현 해양수산부) 직원 등 10명가량의 해운 관련 공무원들한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상품권을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는 한국선급 본부장을 상대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청해진해운의 실소유주로 알려진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의 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김회종)은 외국에 있는 둘째 아들 유혁기(42)씨와 핵심 측근 2명이 출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유 전 회장을 다음주에 먼저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7일 알려졌다.
검찰은 유혁기씨와, 유 전 회장의 비서 출신인 한국제약 대표 김아무개(52)씨, 문진미디어 전 대표 김아무개(76)씨에게 8일까지 출석하라고 3차 통보를 했으나, 이들 모두 출석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검찰은 유 전 회장이 겉으로는 경영에서 손을 뗀 것처럼 보이지만 이들을 내세워 실질적 경영권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 유 전 회장에 앞서 조사하는 게 순서라고 보고 있다.
검찰은 ‘무대응’ 전략으로 버티는 유혁기씨 등에 대해 미국 연방수사국(FBI) 등과 공조해 강제 송환에 나설 방침이라고 했으나, 실효성은 의문이다. 범죄인 인도 청구를 하더라도 해당 국가에서 이들이 인신보호 재판을 청구하면 4~5년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유 전 회장을 우선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측근들 조사를 건너뛴 채 유 전 회장을 곧장 부를 경우 경영 개입 여부를 입증하는 데 어려움도 예상된다.
검찰은 이날 유 전 회장 일가를 편법 지원해 회사에 수십억원의 손실을 끼친 혐의(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의 배임) 등으로 ㈜천해지 변아무개(42) 대표와 ㈜세모 고아무개(67) 대표의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항만 비리를 수사하는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송인택)은 이날 선박 안전 상태를 제대로 점검하지 않고 거짓 보고서를 작성한 혐의(위계에 의한 업무방해 등)로 해운조합 인천지부 운항관리자 ㄱ씨를 체포했다.
부산 인천/김광수 김정필 기자 kskim@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