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
전국에 흩어진 ‘일반인’ 가족들
별도로 ‘대책위원회’ 만들어
“장례 뒤로 버려졌다는 느낌”
인천시청광장에 따로 합동분향소
전국에 흩어진 ‘일반인’ 가족들
별도로 ‘대책위원회’ 만들어
“장례 뒤로 버려졌다는 느낌”
인천시청광장에 따로 합동분향소
“‘일반인’한테 필요한 지원이 여기 어디에 있습니까?”
14일 인천시 서구 국제성모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 세월호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만난 장종연(40)씨는 정부가 제작한 ‘가족지원서비스 안내’라는 소책자를 보며 허탈해했다.
“갑자기 남편을 잃은 한 엄마는 아이가 셋이에요. 생계 곤란 정도가 다른데도 다른 가족하고 똑같이 100만원도 안 되는 생활안정자금을 받아요. 단원고 학생 가족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일반인들은 개개인이 처한 상황이 정말 다 다른데 정부가 이걸 모르네요.”
장씨를 비롯한 ‘일반인’ 희생자 가족 20여명은 결국 지난 11일 기존에 있던 ‘세월호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대책위원회’와는 별도로 ‘임시 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인천 용유초 동창생 희생자 가족들을 비롯해 서울과 경기 광명·광주·포천·고양 등에 흩어져 있는 ‘일반인’ 희생자 가족들이 모였다. 세월호 사고 직후 진도에서부터 일반인 가족들의 대변인 구실을 해왔던 장씨가 대표를 맡았다.
가족지원서비스를 총괄하는 안전행정부 담당 과장은 “일반인 희생자 40여명에게 1인당 전담 공무원 2명씩을 배정해 지원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장씨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고인이 된 분들이 지고 있던 채무 때문에 대신 추심을 받는 가족들도 있어요. 일정 기간만이라도 추심을 중단할 방법을 문의하고 있는데 며칠째 ‘회의중’, ‘검토중’이라는 말만 반복하니 답답합니다.”
취재중에도 한 희생자 어머니가 장씨에게 전화로 답답함을 호소했다. “가족분들이 물어물어 저한테까지 연락을 해오세요. 장례 뒤로 ‘버려졌다는’ 소외감을 느끼시는 분이 많아요.”
장씨와 임시 대책위는 당장 인천시의 협조를 받아 시청 광장에 일반인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새로 설치하기로 했다. “단원고 희생자 가족분들도 일반인 희생자 가족들이 소외받는 부분에 걱정을 많이 하세요. 다른 희생자 가족들에게도 연락을 해보고 싶은데 정부에서 개인정보라며 연락처를 주지 않아요. 기사를 보고 연락을 많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장씨와는 인천시청 총무팀을 통해 연락할 수 있다.
인천/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