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인천시청 앞에 마련된 일반인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에서 한 인천시 직원이 분향소를 지키고 있다. 인천/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세월호 100일]
인천시청 앞 분향소 한산
유족들 “정부 지원 조건 안 맞아”
절반은 긴급복지자금도 못 받아
“그동안 참았던 불만 폭발 직전”
인천시청 앞 분향소 한산
유족들 “정부 지원 조건 안 맞아”
절반은 긴급복지자금도 못 받아
“그동안 참았던 불만 폭발 직전”
“늦게 찾아와 죄송하다고 적었어요.”
23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 미래광장에 마련된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분향을 하고 노란 리본에 추모글을 쓰고 있던 장아무개(32·인천시 부평동)씨는 흐르는 눈물을 닦으며 이렇게 말했다. 장씨는 “희생자들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세월호 참사를 보며 너무 가슴이 아팠다. 너무 늦게 왔다는 생각에 분향을 하는데 갑자기 눈물이 쏟아졌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세월호’ 하면 경기 안산 단원고 학생과 교사들, 그리고 안산 화랑유원지에 마련된 세월호 희생자 정부 합동분향소를 떠올린다. 세월호 승무원과 아르바이트생, 중국 동포 등 일반인 희생자 36명의 영정과 위패는 인천 합동분향소에 모셔져 있다. 일반인 희생자 43명 중 아직 실종 상태인 3명과 종교적인 이유 등으로 꺼린 4명은 빠졌다. 일반인 희생자 중에는 제주도로 2박3일 환갑기념여행을 떠났던 인천 용유초등학교 동창생들이 10명으로 가장 많다.
지난 4월29일 문을 연 일반인 희생자 합동분향소에는 지금까지 4만3300여명의 조문객이 찾았다. 이들이 남긴 깨알 같은 추모글들은 분향소 안을 가득 채웠고, 밖에도 노란 리본이 걸려 있었다. ‘살아 돌아오라’는 염원과 ‘세월호를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담은 글들이다.
일반인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찾는 추모객은 시간이 갈수록 줄고 있다. 한 자원봉사자는 “최근 평일에는 한시간에 한명이 올 정도로 한산하다”고 말했다. 하루 추모객 숫자가 분향소를 지키는 공무원, 자원봉사자 규모(20여명)와 비슷하다.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들은 “가족을 잃은 슬픔은 같은데 정부가 우리를 단원고 희생자들에 견줘 차별하고 있다”고 소외감을 표시했다.
이날 분향소 인근에 마련된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회 사무실에서 만난 고 최창복(60·여)씨의 아들 이정석(40)씨는 “단원고 학생이 다수인 안산 쪽과 달리 일반인 희생자들은 지역과 국적, 생활조건이 다르고 나이도 다양하다보니 실질적인 지원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사고 초기에 지원된 긴급복지자금의 경우, 안산 지역은 4~6월 지급하고 3개월 연장됐지만 일반인 희생자 유족들 절반가량은 지원 대상자 조건에 맞지 않아 아예 못받았다고 했다.
유족들은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와 국회가 ‘대책을 세우겠다’고 해놓고 말뿐이라고 비판했다. 대책위원회 총무를 맡고 있는 이정석씨는 “특별법 제정이 늦어지는 등 마무리가 안되면서 그동안 이해하고 참았던 가족들의 불만이 폭발 직전”이라고 말했다. 그는 “5월19일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유가족 의견을 반영한 특별법을 만들고, 특검을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희생자 유가족들이 국회에 들어가 단식농성을 해도 지난 16일까지 특별법을 마무리하겠다던 대통령의 약속조차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들도 7월12일부터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들과 함께 국회에서 농성을 하고 있다.
인천/김영환 기자 ywkim@hani.co.kr
길 위에서 [21의생각 #295]
세월호 참사 100일을 앞둔 23일 오후 진도 팽목항에서 한 시민이 아직까지도 돌아오지 못한 10명의 이름과 형상을 작은 배에 실어 조속히 돌아오길 기원하는 배를 만들어 놓고 있다. 진도/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세월호 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23일 밤 진도 팽목항에서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 주최로 열린 ‘기다림의 염원 촛불’ 문화제에서 참석자들이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있다. 진도/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